- 영문명
- What are mock-documentaries trying to mock?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형대조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54호, 469~49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raises issues about the intention of a producer who uses a mock-documentary when he or she does not intend to reflect or criticise the documentary style. A mock-documentary uses the code and convention of the documentary, but is based on non-fiction, making it a fiction–non-fiction text. As Nichols argued, a documentary considers the text, producers, and audience altogether. Hence, under this premise, this paper asserts that the mock-documentary, which is considered to be a type of a parody of the documentary style, focuses on the intention of the producer and the trust of the audience. Indeed, Rosco and Hight argued that a mock-documentary cannot be defined appropriately by considering only the aspect of potential reflection, regardless of whether there was any intention of a critical reflection in the first place or only fictitious narratives and documentary forms without any reflection. Therefore, this article raises several questions. First, what is producers’ intention when creating a mock-documentary? Second, will the audience no longer trust the documentary when a mock-documentary tries to overthrow the traditional documentary style by using documentary code and a parody of the style? Third, what exactly are mock-documentaries trying to mock? Answering these questions requires redefining the exact meaning of the mock-documentary by studying the current situation in which the use of the term mock-documentary is trending and by clarifying the distinction between a mock-documentary and a fake documentary. Through the resulting discussion, a new aspect—other than Rosco and Hight’s definition—can be introduced.
목차
1. 연구배경과 문제의식
2. 모크 다큐멘터리는 무엇을 의도하는가?
3. 모크 다큐멘터리는 관객의 믿음을 해체할 것인가?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분열되는 나운규의 신화와 민족적인 아나키즘 영웅의 탄생, 1920년대 영화소설에 나타난 나운규의 스타 이미지 연구
- 「예술인 복지법」과 영화인 고용복지
- 영화 시장에서 3D 입체 영화의 시장 행위와 성과에 관한 연구
- 모크 다큐멘터리는 무엇을 모크(mock)하는가?
- 영화 관객의 눈 깜박임에 관한 연구
- 브랜드로서 작가의 구조적 특징과 의미 작용의 변화
- 디지털영화 ; 영화와 애니메이션의 사이공간에 관한 연구
- 존 마셜(John Marshall)의 민족지영화 방법론과 <나이, 쿵 여인의 이야기(N!ai, The Story of !Kung Woman)>(1980)의 분석
- 바쟁의 리얼리즘과 기계적 자동주의 다시 읽기
- 영화제 이론과 평가 방법론에 대한 연구
- 한국 독립영화에 나타난 자기반영적 미학과 희극 전략 연구
- 한국영화의 저작권 연구
- 영화 속 PPL(Product PLacement)의 효과적인 활용방안 연구
- 대안적 방식의 극영화 제작 워크숍 수업모델에 대한 이론적 고찰
- 장르적 관점으로 본 S3D 영화의 성공전략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