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What Author as Brand Brings Upon the Understanding of Text: a Study on Cultural Political Economy through the Case of Park Chan-wook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김영일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54호, 33~66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ne of the prominent changes in the Korean film industry since 2000 is a reassertion of the directoral authority in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blockbuster films. Marking a departure from the frist generation of author theory which emphasized the artistic vision, the new author is more of a cultural and social construction than of textual traits. As in the case of Park Chan-wook whose revenge trilogy coincides with the emergence of his status as author director, the need of international recognition in the area of film festivals for the marketing purpose as well as the digitalization of cinema occurring with an effect of diversifying cinematic platforms customed to personalized viewing are behind the author director Park Chan-wook. Named as the brand author and theorized by Timothy Corrigan, this hybrid of promotional catch-phrase and the French tradition of auteur policy provides an access point for Park’s texts, even though it departs conceptually from the author as artistic vision realized through textual distinction. To put the brand author in a context of the Field Theory by Broudieu, it becomes clear that the brand author is a place where two competing forces meet. Bourdieu argues that a field, whether it be economic or cultural, has its own structure and symbolic capital. A field cannot be reduced to other. In other words, a cultural field that works on its own structural order cannot be explained in terms of an economic one and vice versa. A diversified society consists of multiple fields. However, combined with Scott Lash’s theory on culture as phenomenon that should be experienced and moves through phases, for instance, from an arena of culture to marketing activities, the field theory provides a powerful tool to understand culture such as the understanding of cinematic text to be a part of field activity that works its own structure but that transforms in relation to a neighbouring field. In this sense, one can argue that the brand author is a field that stands on the past of the auteur theory but transforms in relations to the marketing needs in the age of cinematic digitalization. As a field, the brand author explains that signification of cinematic text, no longer confined in a cultural domain, is a norm constructed culturally and socially that has a possibility to transform into another set of rules and structure.
목차
1. 서론
2. 문화의 구조
3. 작가의 탄생과 죽음 그리고 현재
4.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분열되는 나운규의 신화와 민족적인 아나키즘 영웅의 탄생, 1920년대 영화소설에 나타난 나운규의 스타 이미지 연구
- 「예술인 복지법」과 영화인 고용복지
- 영화 시장에서 3D 입체 영화의 시장 행위와 성과에 관한 연구
- 모크 다큐멘터리는 무엇을 모크(mock)하는가?
- 영화 관객의 눈 깜박임에 관한 연구
- 브랜드로서 작가의 구조적 특징과 의미 작용의 변화
- 디지털영화 ; 영화와 애니메이션의 사이공간에 관한 연구
- 존 마셜(John Marshall)의 민족지영화 방법론과 <나이, 쿵 여인의 이야기(N!ai, The Story of !Kung Woman)>(1980)의 분석
- 바쟁의 리얼리즘과 기계적 자동주의 다시 읽기
- 영화제 이론과 평가 방법론에 대한 연구
- 한국 독립영화에 나타난 자기반영적 미학과 희극 전략 연구
- 한국영화의 저작권 연구
- 영화 속 PPL(Product PLacement)의 효과적인 활용방안 연구
- 대안적 방식의 극영화 제작 워크숍 수업모델에 대한 이론적 고찰
- 장르적 관점으로 본 S3D 영화의 성공전략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