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Market Conduct and Market Performance of 3D Cinema in Film Market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정재우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54호, 327~34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echnical parts and Aesthetics of 3D cinema such as Avatar(2009), Natalie(2010) and Sector 7(2011) were studied and analyzed. These studies are needed. But 3D cinema should be studied in approach of the industry because movies are produced, released, screened in market. So this essay focuses on analyzing 3D cinema on the base of Industrial organization theory consisting of market structure - market conduct - market performance. The market structure of film industry is analyzed. The result is following. The entry barrier is low so that a lot of new movie companies enter the market easily. So the competition among many movie companies is intense. This situation forces the film company to making differentiated product, differentiated movie such as 3D cinema. Movie companies analyze the market signals to make a decision for the market conduct such as making 3D cinema. The market signals give both good news and bad news. The bad news of the market signals is raising the cost of the production and the problem of the human factor. But the market signals give three good news. First, viewers are wiling to pay higher fee to watch 3D cinema. It is proved by watching Avatar and so on. Second, 3D screen is increased. It means that 3D cinema can be multi-released. Third, 3D TV is supplied broadly. 3D cinema can be sold in the secondary market like IPTV, Internet VOD and so on. These good market signals influence on making 3D cinema, Natalie and Sector 7 in Korea. Lastly, let’s analyze the market performance of the Natalie and Sector 7. These movies are nonprofitable. But the know-hows of producing the 3D cinema such as setting lighting etc is accumulated. These know-hows can be helpful when the next 3D cinema is made.
목차
1. 들어가면서
2. 연구방법론
3. 영화 시장의 구조
4. 시장행위로서의 3D 입체 영화
5. 3D 입체 영화의 시장성과
6. 나오면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분열되는 나운규의 신화와 민족적인 아나키즘 영웅의 탄생, 1920년대 영화소설에 나타난 나운규의 스타 이미지 연구
- 「예술인 복지법」과 영화인 고용복지
- 영화 시장에서 3D 입체 영화의 시장 행위와 성과에 관한 연구
- 모크 다큐멘터리는 무엇을 모크(mock)하는가?
- 영화 관객의 눈 깜박임에 관한 연구
- 브랜드로서 작가의 구조적 특징과 의미 작용의 변화
- 디지털영화 ; 영화와 애니메이션의 사이공간에 관한 연구
- 존 마셜(John Marshall)의 민족지영화 방법론과 <나이, 쿵 여인의 이야기(N!ai, The Story of !Kung Woman)>(1980)의 분석
- 바쟁의 리얼리즘과 기계적 자동주의 다시 읽기
- 영화제 이론과 평가 방법론에 대한 연구
- 한국 독립영화에 나타난 자기반영적 미학과 희극 전략 연구
- 한국영화의 저작권 연구
- 영화 속 PPL(Product PLacement)의 효과적인 활용방안 연구
- 대안적 방식의 극영화 제작 워크숍 수업모델에 대한 이론적 고찰
- 장르적 관점으로 본 S3D 영화의 성공전략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