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Lacanian Implication Depicted in Ingmar Bergman’s Persona: How It Enacts the Creative Function of the Sinthome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김서영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58호, 55~85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implication of Jacques Lacan’s Seminar XXIII depicted in Ingmar Bergman’s film, Persona. The latter has been analysed in various ways: one considers it as one of the art films and the other, as a protest against the typical custom of hollywood. These perspectives,however, do not reveal the unique way of the film originating from the director’s life. The film cannot be analysed without looking at the directors own life and his belief in human holiness. It has to be understood as an evidence that proves the unique way of Bergman’s organizing his life. The world created by Bergman’s sinthome is not completely subjected to the Lacanian symbolic order since it does not follow the name/law of the father. The nomination process is carried out not centering around the latter but around the directors own commend. This is exactly what Lacan has examined in Joyce’s writings, or his sinthome. He asserts that Joyce has created a unique world in which the law of the father is substituted by his own way of nomination. It is a world where the writer can live according to his own rules and plans. The sinthome is the very concept that has been offered in order to refer to this singularity which has the structure of ‘mais pas ça’(but not that). The sinthome is the forth knot that connects the remaining orders of the Symbolic, the Imaginary, and the Real in the Borromean knot. This concept has been introduced in the 23rd seminar of Lacan in connection 85김 서 영with his analysis of James Joyce. This paper has demonstrated that one can observe the similar sinthome/writing in Bergman’s life and in his work, and has shown how Bergman’s sinthome has created the basic structure of Persona. There is the element of human holiness at the center of the film and yet it is combined with the most humanly limits, both leading the audiences to witness the birth of the subject. The ultimate aim of this paper has been to represent the possibility of the birth of the subject who can create his/her individual space where the singularity of each person is most cherished and the dream of each subject comes true. This is also the ultimate place where the subject has to be at the end of the analysis in psychoanalytic practice.
목차
1. 들어가는 말: 인간의 신성 그리고 실재
2. 텍스트 분석: 거짓된 삶 대 진실한 삶
3. 라캉의 『세미나 XXIII: 생톰』을 통한 새로운 정신분석적 비평의 모색
4. 포스터의 <페르조나> 분석: 연대의 가능성을 꿈꾸며
5. 베리만의 생톰: 무대와 프레임에 새겨진 자아의 글쓰기
6. 나가는 말: 새로운 의미의 창조를 위하여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화인문학, 디지털시대의 인문학
- <돌아오지 않는 해병>스토리텔링의 이중적 구조에 대한 연구
- 2000년대 한국영화에서 재현된 국가폭력의 역사에 대한 고찰
- 영화연기의 사실성(事實性)에 관한 연구
- <두 개의 문>에 드러난 “현실의 창조적 재구성”
- 분단의 영화적 형상화와 무교적 메타포
- 일제강점기 조선영화에 나타난 가족 담론 연구
- 영화에 대한 사전지식이 추천 행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 Joel, Ethan Coen 감독의 스타일 분석
- 에이젠쉬테인의 영화색채론
- 영화 표절 연구
- 애니메이션은 어떻게 다큐멘터리가 되는가?
- 유튜브 역사 다큐멘터리 연구
- 잉마르 베리만의 <페르조나>에 대한 라캉적 독해
- 영화연구 제58호 목차
- 조선키네마 주식회사의 설립 배경과 몇 가지 논쟁점에 대한 고찰
- <북북서로 진로를 돌려라>와 <올드보이>의 내레이션
- 한국영화학회 이사회 (2013-2014)
- 영화의 고향을 찾아서
- 영화 내러티브의 정보 통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