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Foundation Background of Cho-sun Kinema Company and Points of Dispute about This Institute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문관규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58호, 153~17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foundation of Cho-sun Kinema Company was based on the commercial success of Cho-sun films that started from the hit of . In the early history of Korean films, the foundation of Cho-sun Kinema Company built a coexisting system between Seoul and Busan. According to historical records, the foundation capital and the confirmed address have been proved to be as follows; ‘a film production established on July 11th 1924 at 19 beon-ji, 5 jeong-mok, Busan bon-jeong with the capital of 75,000won and the money due of 18,750.’ Based on my own investigation and an old map, Cho-sun Kinema Company was possibly established at the current address of 19 beon-ji, 5 ga, Jung-gu,Dong-gwang-do, which was known as 5-19, Yeong-ju-dong earlier. The building belonged to Russian consulate that had moved in 1912. Later,the building was used for Russian consulate, Cho-sun Kinema Company,Korea-America club before it was totally estructed during the fire occurred at the train station nearby on November 27th1953. The reasons why Yoon Baek-nam’s party withdrew from the institute was firstly because they took the responsibility for the box-office failure of films. The second theory is related to conflicts between Cho-sun movie filmmakers and inlanders. The conflicts were made due to habitual sexual harassments of Takasa Ganjou, the manager of Cho-sun Kinema Company, on Korean actresses. The third reason was the passion for Cho-sun’s films. Oral testimonies and related documents show that, on the surface, the reason why Cho-sun’s filmmakers left for Seoul was the responsibility about the failure of film . But the true reason was the desire that Yoon Baek-nam’s party had about producing Cho-sun’s own films. Therefore, the direct cause of the withdrawal was emotional conflicts between inlanders and Cho-sun people. The reason for the slack and collapse of Cho-sun Kinema Company was the lack of working crew caused by the Cho-sun people’s relocation to Seoul. The next reason was financial difficulties imposed by box-office failures. Thirdly, the company failed to overcome the poor distribution environment. Cho-sun Kinema Company has a historical significance because it was a symbolic incident showing the movement of cinematic power from Busan to Seoul, and it also represented the poor environment of the early Korean film industry.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조선키네마 주식회사 설립 배경 고찰
3. 조선 키네마 주식회사에 대한 몇 가지 논쟁점
3. 윤백남 일행의 조선키네마 탈퇴와 서울행 원인
4. 조선 키네마 주식회사의 해산 원인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화인문학, 디지털시대의 인문학
- <돌아오지 않는 해병>스토리텔링의 이중적 구조에 대한 연구
- 2000년대 한국영화에서 재현된 국가폭력의 역사에 대한 고찰
- 영화연기의 사실성(事實性)에 관한 연구
- <두 개의 문>에 드러난 “현실의 창조적 재구성”
- 분단의 영화적 형상화와 무교적 메타포
- 일제강점기 조선영화에 나타난 가족 담론 연구
- 영화에 대한 사전지식이 추천 행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 Joel, Ethan Coen 감독의 스타일 분석
- 에이젠쉬테인의 영화색채론
- 영화 표절 연구
- 애니메이션은 어떻게 다큐멘터리가 되는가?
- 유튜브 역사 다큐멘터리 연구
- 잉마르 베리만의 <페르조나>에 대한 라캉적 독해
- 영화연구 제58호 목차
- 조선키네마 주식회사의 설립 배경과 몇 가지 논쟁점에 대한 고찰
- <북북서로 진로를 돌려라>와 <올드보이>의 내레이션
- 한국영화학회 이사회 (2013-2014)
- 영화의 고향을 찾아서
- 영화 내러티브의 정보 통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