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3 Acts Narration of 《North By Northwest》 and 《Oldboy》: Focusing on the eight-sequence structure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윤보협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58호, 283~31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of this thesis is studying on the eight-sequence structure of the films, and . The eight-sequence structure is of a paradigm-an ideal layout-and variations have been done, very effectively. But it can serve as a starting point. Over the course of a typical two hour movie, the eight-sequence structure works out follows. Sequence A, the first fifteen minutes of a picture answer the questions of who, what, when, and under what conditions the picture will take place. Before such exposition, though, it is crucial to hook the audience and get them interested in watching further through the use of curiosity. Usually by the end of sequence A, there arises a moment in the picture called the point of attack, or inciting incident. SequenceB, the second fifteen minutes of a film tend almost invariably to focus on setting up the main tension. As such, the end of the second sequence tend to mark the end of the first act. SequenceC, the third fifteen minutes of a picture allows the protagonist a first attempt at solving the problem posed at the end of the first act. Caracters tend to choose the easiest solution to the problem, hoping it will be resolved immediately. SequenceD, the fourth fifteen minutes find the first attempt at resolution failing, and sees the protagonist try one or more desperate measures to return his or her life to stability. The end of the fourth sequence very often leads the First Culmination or Midpoint Culmination of a film. SequenceE, the next fifteen or so minutes make the protagonist work on whatever new complication arose in at the first culmination. SequenceF, the last sequence of the second act makes the character find the going most difficult and work at last toward a resolution of the main tension, and find the answer of the dramatic question. The end of the sixth sequence thus marks the end of the second act, also known the Second Culmination. As such, it gives the audience yet another glimpse of a possible outcome of the picture. SequenceG, the seventh sequence is often characterized by still higher stakes and a more frenzied pace, and its resolution is often characterized by a major twist. SequenceH, the eighth final sequence almost invariably contains the resolution of a picture. SequenceH of course almost invariably contains an epilogue or coda.
목차
1. 서론
2. ‘8시퀀스 3막’ 내레이션
3. <북북서로 진로를 돌려라>의 내레이션
4. <올드 보이>의 내레이션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화인문학, 디지털시대의 인문학
- <돌아오지 않는 해병>스토리텔링의 이중적 구조에 대한 연구
- 2000년대 한국영화에서 재현된 국가폭력의 역사에 대한 고찰
- 영화연기의 사실성(事實性)에 관한 연구
- <두 개의 문>에 드러난 “현실의 창조적 재구성”
- 분단의 영화적 형상화와 무교적 메타포
- 일제강점기 조선영화에 나타난 가족 담론 연구
- 영화에 대한 사전지식이 추천 행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 Joel, Ethan Coen 감독의 스타일 분석
- 에이젠쉬테인의 영화색채론
- 영화 표절 연구
- 애니메이션은 어떻게 다큐멘터리가 되는가?
- 유튜브 역사 다큐멘터리 연구
- 잉마르 베리만의 <페르조나>에 대한 라캉적 독해
- 영화연구 제58호 목차
- 조선키네마 주식회사의 설립 배경과 몇 가지 논쟁점에 대한 고찰
- <북북서로 진로를 돌려라>와 <올드보이>의 내레이션
- 한국영화학회 이사회 (2013-2014)
- 영화의 고향을 찾아서
- 영화 내러티브의 정보 통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청소년기의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한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 효과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Z세대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SNS 중독 경향성과 불안정 성인애착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즐거움과 몰입을 통한 수익성 기대가 NFT 구매 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UTAUT2와 합리적 무관심(RI)을 중심으로
- 생태체험이 청소년의 자연친밀감,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