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How Does Animation Become Documentary?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형대조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58호, 483~513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nimated documentary which lies on the border between fiction and non-fiction, and also between animation and documentary, is not a new genre developed recently. However after Waltz with Bashir, the discussion and interest on the animated documentary has spread. The reason is because this new combination is a kind of challenge to the discussion on traditional documentary. The concept of animated documentary stretches the subject of documentary to a non-visible domain. The recent arguments give attention to the possibility of documentary expression with animation image. This animation image is considered to overcome or dismantle photographic referentiality, in the process of acceptance of animation into documentary. This study premises that the truth in a documentary exists in the audience’s gaze when a documentary contains any truth intended by the producer, in spite of that any kind of distortion is unavoidable where the reality in documentary has to be selected and reconstructed. Nichols insists that it is a mode of documentary which changes, not the documentary’s ultimate characteristics by saying “What changes is the mode of representation, not the quality or ultimate status of the representation.”There is still an existing limit where the reconstruction has to be based on the ‘fact’to have its value as realistic evidence or records in the context of documentary although the idea of using animation technique during the reconstruction in a documentary is widely accepted. This study points out the limits of current discussions on the definition of animated documentary and brings up an argument on how animation becomes a documentary in different aspects. The study also reviews the current discussion in terms of the intention of a producer who chose the animation as a documentary tool and interpretation of the audience,whereas the current discussion is rather focused on text-animation itself at this time when animation was accepted as a new documentary tool.
목차
1. 서론
2. 애니메이션 vs. 애니메이티드 다큐멘터리 vs. 다큐멘터리
3. 애니메이션은 어떻게 다큐멘터리가 되는가?
4. <바시르와 왈츠를> vs. <페르세폴리스>
5. 나오는 글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화인문학, 디지털시대의 인문학
- <돌아오지 않는 해병>스토리텔링의 이중적 구조에 대한 연구
- 2000년대 한국영화에서 재현된 국가폭력의 역사에 대한 고찰
- 영화연기의 사실성(事實性)에 관한 연구
- <두 개의 문>에 드러난 “현실의 창조적 재구성”
- 분단의 영화적 형상화와 무교적 메타포
- 일제강점기 조선영화에 나타난 가족 담론 연구
- 영화에 대한 사전지식이 추천 행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 Joel, Ethan Coen 감독의 스타일 분석
- 에이젠쉬테인의 영화색채론
- 영화 표절 연구
- 애니메이션은 어떻게 다큐멘터리가 되는가?
- 유튜브 역사 다큐멘터리 연구
- 잉마르 베리만의 <페르조나>에 대한 라캉적 독해
- 영화연구 제58호 목차
- 조선키네마 주식회사의 설립 배경과 몇 가지 논쟁점에 대한 고찰
- <북북서로 진로를 돌려라>와 <올드보이>의 내레이션
- 한국영화학회 이사회 (2013-2014)
- 영화의 고향을 찾아서
- 영화 내러티브의 정보 통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