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ransnational Cinema and Competing Universalities: Based on Snowpiercer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한미라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68호, 255~286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전지구화 시대를 맞아 민족국가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트랜스내셔널 시네마를 통해 한국영화를 재배치하고자 하는 욕망에서 출발하였다. 전지구적인 것과 지역적인 것들이 접촉했을 때 이들의 섞임이 영화 속에서 어떤 긴장과 흔적들을 만들어내고 있는지를 <설국열차>(봉준호, 2013)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트랜스내셔널 시네마로서 <설국열차>를 분석하는 방법론으로는 주디스 버틀러의 보편성 개념을 끌어왔다. 주지하다시피 버틀러의 이론은 ‘수행성의 정치학’으로 갈음될 수 있는데, 버틀러에게 있어 젠더 정체성은 본질적 특성이라기보다 외부적표층 속에서 구성되는 반복적 행위로, 수행적인 것이다. 같은 맥락에서 버틀러의보편성은 선험적이고 본질적인 것이 아니라 항상 경합 중인 것으로, 공식적 보편성은 언제나 유령적 보편성을 내포하고 있다. 즉 공식적 보편성에 특수자들이 동화된 부분은 동화될 수 없는 잔존물로 그 흔적을 남기면서 유령과 같은 방식으로보편성을 부여하게 된다. 여기에서 영화에 있어서의 번역 과정이 의미 있어지는데, 공식적 보편성에게 배제된 내용을 가시화함으로써 기존의 공식적 보편성을넘어서는 새로운 재의미화, 재공식화의 과정으로 확장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적 리얼리티를 극명하게 드러냈던 봉준호의 전작들과 달리, <설국열차>는‘기차’라는 무국적성의 시공간적 이미지, ‘계급혁명’이라는 보편적인 주제를 통해로컬리티가 삭제된 이른바 ‘보편적’인 블록버스터로 기능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공식적 보편성에 특수자들이 동화될 수 없는 잔존물로 흔적을 남기며 유령과 같은 방식으로 보편성을 부여하듯이, <설국열차>에서는 서사를 지연시키는슬로우 모션, 대화 장면에서 서사의 흐름에 균열을 일으키는 어색한 정면 숏, 그리고 ‘외팔이’로 대표되는 극단적인 신체훼손의 이미지 등을 통해 유령적 보편성이 틈입되고, 더 나아가 봉준호 영화의 특정성 다시 말해 기차의 앞 칸을 향해 나아가는 듯했지만 결국 기차 밖의 세상을 향해 가는 ‘비켜가는 서사’, 사회적 재앙을 개인화하는 지점으로 갈음되는 ‘덜 떨어진 히어로’, 심각한 상황에 도통 어울리지 않는, 한국적 상황에서 비롯되는 유머 코드 등을 통해 특수성과 보편성이끊임없이 겹쳐지고 경합하는, 끊임없이 유동하고 의미를 재협상하는 ‘경쟁하는보편성’, ‘과정 중의 트랜스내셔널 시네마’를 향해 나아가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is based on ambition of remapping Korean Cinema through Transnational Cinema crossing over national and ethnic boundaries in the era of globalization. As globality contacts with locality, the mixture could create some sort of tension and trace, and the paper analyze such a phenomenon focusing on Snowpiercer directed by Bong Joon-ho. Judith Butler’s concept, “universality” is brought to explain Snowpiercer as Transnational Cinema in this article. Her theory can be summed up “politics of the performativity”. She argues that gender identity is performative by a set of repeated acts rather than an original trait. In the same context, universality is not preexisting nor intrinsic but competing at all times, and thus formal universality inevitably connotes spectral universality. Namely, when the particular assimilate into formal universality, it leaves a trace of insoluble remnants and assigns universality to itself in the manner of spectrality. In this respect, a translation process in cinema acquires its significance in that the translation can extend to new meaning and reformulation beyond existing formal universality. In contrast to Bong’s previous works portraying Korean reality, Snowpiercer seems a universal blockbuster film wiping out locality by the stateless image of a train and the transhistorical theme of social revolution. However, as the particular leaves a trace of insoluble remnants and assigns universality in the way of spectrality, spectral universality emerge as slow-motion shots retarding narrative, an awkward frontal shot on dialogue scenes cracking narration, and extremely disfigured body images as exemplified by a one-armed person in Snowpiercer. Furthermore, the particularity of Bong’s work, such as “dodging narrative” in which the characters seem to go forward in the train but go out of the train after all, “a defective hero” that emerges out of personalized social disasters, and an absurd sense of humor sorting ill with grave situations which originates from Korean reality, is heading in “competing universality”- particularity and universality are vying with each other, constantly fluctuating and negotiating meaning- and “transnational cinema in progress.”
목차
1. 들어가면서
2. 주디스 버틀러의 수행성과 유령적 보편성
3. 문화번역과 트랜스내셔널 시네마
4. 유령적 보편성과 <설국열차>
5. 나가면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오시마 나기사(大島渚)의 재일한국인묘사를 통한 반국가적 표현 연구
- 일본군 ‘위안부’ 소재 다큐멘터리의 기억 기록과 담론 전개 방식
- 포스트 아포칼립스 스토리텔링에 내재된 성장과 모험
- 영화와 미술의 상호매체성 연구
- 1956년 민중혁명이후 헝가리 영화형성과정 연구(1956∼1967)
- 타자의 반-테러리즘적 전매개화를 넘어서
- 트랜스내셔널 시네마와 경쟁하는 보편성
- 영화연구 제68호 목차
- 플랫폼 차이에 따른 다큐멘터리 영상 재현의 차별화에 관한 연구
- 사단법인 한국영화학회 정관 외
- 한국 사극영화 장르의 유형 연구
- 영화 <서부전선>에 재현된 헤테로토피아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빅데이터를 활용한 워케이션 트렌드 분석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청소년기의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한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 효과성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