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Intermediality of Films and Art: Focusing on Shirley: Visions of Reality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조혜정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68호, 227~25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여러 예술영역 중에서도 영화는 미술과의 상관성과 인접성이 비교적 큰 쪽에속한다. 캔버스 혹은 회화작품의 프레임이 그대로 스크린 혹은 화면의 프레임으로 대체된다 해도 어색할 게 없을 만큼 영화이미지의 창출은 미술과 깊은 상관관계를 갖는다. 바로 영화와 미술의 상호매체성이다. 오스트리아 감독 구스타브 도이치(Gustav Deutsch)의 <셜리에 관한 모든 것Shirley: Visions of Reality>(2013)은 영화와 미술의 상호매체성을 더욱 독특한 방식으로 실현하고 있는 경우이다. 이 영화는 미국 사실주의 화가 에드워드 호퍼의그림을 글자 그대로 재현한다. 호퍼의 그림을 타블로 비방(Tableau Vivant)으로거듭 나게 한 것이다. 간략하게 말하면 타블로 비방이란 ‘살아 있는 그림’이다. 코스튬을 입은 배우나 미술가들, (혹은 그들이 고용한) 모델들이 연극적인 포즈를 취하며 연출하는퍼포먼스를 지칭할 때 사용하는 용어이다. 구스타브 도이치는 이 형식을 통해 에드워드 호퍼의 그림을 소생시켰다. <셜리에 관한 모든 것>은 호퍼의 그림 13점에 셜리라는 가상인물의 이야기를결합한다. 따라서 그림이 곧 영화의 신(scene)으로 대체되기 때문에 인물의 구성과 동작과 공간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이러한 단조로운 구성과 제약을 보완하기 위하여 영화가 구사한 전략은 호퍼의 빛과 색감 그리고 사운드효과이다. 빛의표현은 호퍼 그림의 가장 중요한 모티브이고, 색감은 호퍼 그림이(또한 영화가) 지니는 매혹적인 아름다움과 관계있으며, 사운드효과는 영화에 스토리와 정보를제공해준다. 특히 셜리의 보이스 오버 내레이션(내적 독백 internal monologue)과라디오의 뉴스와 음악은 호퍼의 그림과 함께 하는 30여년에 걸친 시간적 배경을풍성하게 되살린다. 이로써 “역사는 개인의 사적 이야기들로 이루어진다”(History is made up of personal stories)는 구스타브 도이치의 신념이 <셜리에 관한 모든것>을 통하여 실현된다. <셜리에 관한 모든 것>은 서사의 힘에 의지하여 이미지가 만들어지고 캐릭터가 창조되는 대부분의 영화 만들기와는 다른 방식으로 접근한다. 타블로 비방의형식을 도입하여 기존의 그림을 그야말로 ‘살아있는 그림’(living picture)으로 만들고, 그림에 맞춰 스토리와 맥락을 연출함으로써 <셜리에 관한 모든 것>은 매우독특한 영화관람 경험을 제공하게 된 것이다.
영문 초록
In the many fields of art, films have relatively large correlation and adjacency with art. The creation of film images have deep correlation with art that it can be said that it would not feel awkward to substitute the canvas or frame of a painting to the screen or frame of the screen. This is the intermediality of films and art. The Austrian director, Gustav Deutsch’s Shirley: Visions of Reality (2013) is a case in which the intermediality of films and art is constructed in a very unique way. This film recreates the drawings of the American realist painter Edward Hopper to the letter. He recreated the paintings of Hopper as Tableau Vivant. In brief, Tableau Vivant is ‘a living painting’. It is a term used for performances of actors, artists or models (that they hired) wearing costumes and putting on theatrical poses. Gustav Deutsch vivified the paintings of Edward Hopper through this format. Shirley: Visions of Reality combines the 13 paintings of Hopper with the story of a fictional character named Shirley. Thus, since the painting is substituted with a scene from the film, the composition and motions of characters, and space are inevitably limited. In order to make up for the simple composition and limitations, the strategy used by the film was Hopper’s light and colors and sound effects. The expression of light is the most important motif of Hopper’s paintings, and the color is related to the charming beauty of Hopper’s paintings (or the film), and the sound effects provide the story and information for the film. In particular, Shirley’s narration and the news and music from the radio revives the time background spanning over 30 years together with the paintings of Hopper. Thus, “History is made up of personal stories” realizes Gustav Deutsch’s belief through Shirley: Visions of Reality. Shirley: Visions of Reality creates images based on the power of narration and it has a different approach compared to most film production in which the character is then created. The format of Tableau Vivant is implemented to make a painting into ‘a living picture’, and by producing the story and context based on the painting, Shirley: Visions of Reality provides a very unique cinema experience.
목차
1. 시작하는 글
2. 영화와 미술의 상호매체성과 타블로 비방에 대한 논의
3. 영화 <셜리에 관한 모든 것> 분석
4. 마치는 글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오시마 나기사(大島渚)의 재일한국인묘사를 통한 반국가적 표현 연구
- 일본군 ‘위안부’ 소재 다큐멘터리의 기억 기록과 담론 전개 방식
- 포스트 아포칼립스 스토리텔링에 내재된 성장과 모험
- 영화와 미술의 상호매체성 연구
- 1956년 민중혁명이후 헝가리 영화형성과정 연구(1956∼1967)
- 타자의 반-테러리즘적 전매개화를 넘어서
- 트랜스내셔널 시네마와 경쟁하는 보편성
- 영화연구 제68호 목차
- 플랫폼 차이에 따른 다큐멘터리 영상 재현의 차별화에 관한 연구
- 사단법인 한국영화학회 정관 외
- 한국 사극영화 장르의 유형 연구
- 영화 <서부전선>에 재현된 헤테로토피아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빅데이터를 활용한 워케이션 트렌드 분석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청소년기의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한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 효과성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