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화제작 인력의 예술가로서의 정체성이 전문성과 업무자율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영문명
The Effect of Film Crews’ Artistic Identity on their Professionalism and Job Autonomy: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Main Activity Area (Feature Film Industry Vs. Independent Film Industry) in 2014-5
발행기관
한국영화학회
저자명
이희진
간행물 정보
『영화연구』제76호, 273~316쪽, 전체 44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6.30
8,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영화산업에서 활동하는 영화제작 인력(402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예술가로서의 정체성’, ‘업무자율성’ 그리고 ‘전문성’의 인과관계를 구조모형분석(SEM)에 기초하여 실증적으로 규명한 연구이다. 자료분석을 통해 밝혀진 주요 내용을 요약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술가로서의 정체성과 전문성은 척도의 중간수준(3점)을 약간 상회하였고, 업무자율성은 긍정적인 평가기준(4점)에는 다소 못미치는 수준이었다. 업무자율성에서는 두 집단(상업영화집단, 독립영화집단) 간에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예술가의 정체성은 상업영화 영역보다 독립영화 영역에서 주로 활동하는 응답자들이 유의하게 높았지만, 전문성은 이와 대조적으로독립영화 영역 보다는 상업영화 영역의 응답자들이 더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전체응답자들을 대상으로 연구모형을 분석에서, 예술가의 정체성은 업무자율성에 긍적적인 영향을 주었고, 업무자율성은 전문성에 긍정적이 영향을 주었다. 하지만 예술가의 정체성과 전문성은 부적상관관계를 이루었다. 셋째, 독립영화 집단의 경우, 예술가의 정체성은 전문성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예술가 정체성➝업무 자율성’ 경로와 ‘업무자율성➝전문성’ 경로’ 이 두 직접 경로는 유의하였다. 업무자율성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넷째, 상업영화 집단에서도 ‘예술가 정체성➝전문성’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고, ‘예술가 정체성➝업무 자율성’ 경로와 ‘업무자율성➝ 전문성’ 경로 이 두 직접 경로는 유의하였지만, ‘예술가 정체성➝업무 자율성➝ 전문성’ 경로의 업무자율성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다섯째, 예술가의 정체성이 두 집단 모두에서 직접적으로 전문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독립집단의 경우는 업무자율성의 매개효과가 입증되어, 업무자율성을 완전매개로하여예술가의 정체성이 이들의 전문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이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예술가의 정체성이 업무 자율성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상업영화집단에서보다 독립영화집단에서 훨씬 더 영향력이 유의하게 크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두 집단간의 상이한 양상이 발견되어 조절효과가 실증적으로 입증되었다. 영화제작 인력의예술가로서의 예술가의 정체성이 전문성 및 업무자율성에 미치는 직간접효과를 규명함에 있어서, 주요 활동영역의 조절효과를 함께 반영한 분석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주요 발견점을 토대로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based on the SEM model of Korean film crews’ artistic identity, job autonomy and professionalism. Key details identified in the data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artistic identity and professionalism are slightly above the middle level of a scale, and the job autonomy is slightly below the positive assessment standard. In job autonomy,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feature film crews, independent film crews). However, although the artistic identity is significantly higher among independent film crews than that of feature film crews, the professionalism is higher among feature film crews. Second, the artistic identit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job autonomy, and job autonomy also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rofessionalism. However, The artistic identity and professionalism show a negative correlation. Third, among independent film workers, the artistic identity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their professionalism. Both direct effect are significant(artistic identity➝ job autonomy; job autonomy➝professionalism). The mediating effect of job autonomy is significant(artistic identity➝job autonomy➝professionalism). Fourth, among feature film workers, the artistic identity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their professionalism. Both direct effect are significant(artistic identity➝job autonomy; job autonomy➝professionalism), however, the mediating effect of job autonomy is not significant(artistic identity➝job autonomy➝professionalism) unlike that among independent film people. Fifth, although the artistic identity does not directly affect the professionalism in both groups, it shows that the perfect mediation effect of the job autonomy positively influences their professionalism. Lastly, it is proved that the direct effect of the artistic identity on job autonomy is far more influential in independent film crews than in feature film crews. The different aspect is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and the moderating effect is proved empirically. In identifying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the artistic identity on professionalism and work autonomy, it is confirmed that the validity of the analysis that reflects the moderating effects of major activity areas. Based on the main findings,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목차

1. 서론
2. 문헌고찰
3. 연구방법
4. 분석결과
5.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희진. (2018).영화제작 인력의 예술가로서의 정체성이 전문성과 업무자율성에 미치는 영향. 영화연구, (), 273-316

MLA

이희진. "영화제작 인력의 예술가로서의 정체성이 전문성과 업무자율성에 미치는 영향." 영화연구, (2018): 273-3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