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Kracauer’s Flaneur and Movie Theater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피종호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76호, 5~36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6.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모더니즘의 관찰자로서 도시산책자 알레고리에 관한 논의는 보들레르, 애드가알렌 포, 에.테.아. 호프만, 크라카우어, 벤야민에게서 나타난다. 본 연구는 이 중에서 크라카우어의 미학에 초점을 맞추면서 그의 도시산책자 개념을 벤야민의그것과 비교하면서 유사성과 차이점을 고찰한다. 시각적 무의식 속에서 크라카우어의 도시산책자는 선험적 고향상실증에 현상속에 놓여있다. 삶의 의미의 총체성이 사라진 시대적 상황을 의미하는 이 개념과연관된 도시산책자는 기다리는 자, 멜랑콜리커, 꿈꾸는 자로 분류된다. 이런 관점에서 본 연구는 사회비판영화와 선험적 고향상실자를 위한 영화관, 정신분산의장소로서의 영화관에 주목한다. 이와 연관하여 이어지는 홍상수 영화분석은 도시축소화 기법 속에서 영화 또는 영화관의 계몽적 성격, 영화의 구원적 기능과 부정적 영화, 현실도피처로서의 영화관, 영화관의 정신분산기능과 즉흥적 현실구성에 관한 논의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영문 초록
Krakauer’s flaneur is a detective who functions as a person who is waiting in the visual unconscious, is a melancholy keeper, and is a dreamer, to seek for a moment of utopia named as a reality of high meaning, in the dream-like city labyrinth. To him who demands a social criticism film, a movie theater functions as a venue for a transcendental homelessness or distraction. This perspective can also be considered in Hong Sang-Su’s film. The setting of the city is a place where the flow of life and contingency strongly dominate like Krakauer’s film theory. The pain and traces of Hong Sang-Su’s flaneur cause him to suffer in the fear of the life is so-called ‘historical images’ in Krakauer’s meaning. The flaneur in Hong Sang-Su’s film lies in the process of escaping social norm or negative consciousness to heal this historical image. The movie or movie theater he demands is functioning as a ‘distraction’ in Krakauer’s meaning, which is a function of social enlightenment and social criticism. In other words, like Krakauer, the movie theater presents itself as a life of high meaning or a life in which the enlightened audience must live. In addition, the place where historical images are cured, the asylum of escapism, and the functions of salvation are also able to be understood as the vocation of the movie theater. Especially, the salvation function of movie theater shows similarity with the Krakauer’s dialectical process when the movie theater suggests the moment of utopia strongly. His movie or movie theater demands the realistic composition of the improvisational mosaic pursues the moment of utopia in the Krakauer’s meaning.
목차
1. 크라카우어의 도시산책자
2. 사회비판영화와 선험적 고향상실자를 위한 영화관
3. 정신분산의 장소로서 영화관
4. 홍상수 영화의 도시산책자와 영화관
5. 맺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기관과 영화제를 중심으로 살펴본 한국 여성신인감독의 영화계 진출 현황
- 유니버설 클래식 호러 <미이라> 시리즈(1932-1944)에 대한 탈식민주의적 일고찰
- 해외 주요 국가의 영화산업 구조와제도로부터의 정책적 시사점
- 종합적 이미지의 예술과 영상주의
- 영화 <취화선>에서의 풍경 이미지의 논리 구조
- <섬마을 선생>에 나타난 베트남 전쟁과 근대화의 의미
- 영화제작 인력의 예술가로서의 정체성이 전문성과 업무자율성에 미치는 영향
- 욕망이 충돌하는 일상의 공간, 왕가위 영화의 노마디즘 읽기
- 스크린을 통한 군중의 감염과 변화하는 정동의 흐름
- 크라카우어의 도시산책자와 영화관
- 영화연구 제76호 목차
- 영화연구 게재논문 투고, 심사(수정), 게재확정일(한국영화학회 『영화연구』 76호) 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