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veryday Spaces where Desires Collide, Nomadism of Wong Kar-wai’s Films: Focused on Chungking Express, In the mood for love, 2046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김소영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76호, 103~13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6.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고정된 것으로부터의 해방을 의미하는 노마디즘은 유목주의를 뜻한다. 그런데노마디즘을 역설한 대표적 학자인 G. 들뢰즈와 M. 마페졸리의 논의로 거슬러 올라가면, 그 출발점이 다르다. 들뢰즈는 자아의 사유로부터, 마페졸리는 공간의 이동으로부터 노마디즘을 논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노마디즘은 공간에 주목한 마페졸리의 해석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마페졸리는공간의 이동을 넘어, 사회적 관계 속에서 노마디즘을 해석하였다. 사유의 해방, 복수적 자아, 탈영토화, 수평적 네트워크, 리좀 등이 들뢰즈가 말한 노마디즘의핵심이라면, 마페졸리의 경우는 공간의 이동, 다원적 주체, 방랑, 접속, 감정의 융해 등으로 설명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양자 모두 새로운 것으로 향해 간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또한 고정된 것에 의한 억압으로부터 탈피하려는 인간의 욕망은 개별 정체성의 문제로 이어진다. 본 글은 두 학자의 노마디즘에 관한 논의를 토대로, 왕가위 감독의 <중경삼림>(1994), <화양연화>(2000), <2046>(2004)을분석하고자 한다. 세 편의 영화는 사유의 해방과 공간의 이동을 통해, 새로운 정체성을 찾아 헤매는 인간의 욕망을 보여준다. 고정된 자아로부터의 해방을 공간의 이동이라는 역동적 행위로 이행한 <중경삼림>, 타자와 접속하여 교류하면서생성의 힘을 만들어내는 <화양연화>, 그리고 현실과 가상의 시공간을 넘나들며확장되는 새로운 노마드의 모습을 보여준 <2046>은 두 학자가 논의한 노마디즘을 개별적 혹은 복합적으로 재현해내고 있다. 이러한 노마드의 삶은 다양한 공간에서 일종의 디오니소스적인 향유를 지향하는 왕가위 감독만의 화려한 시각 이미지로 묘사된다. 이와 같이 본고는 영화 속 일상의 공간 이미지에 드러나는 노마드의 욕망을 고찰함으로써, 다양한 층위의 노마드로 살아가는 현대인의 정체성을 사유케 하는 의의를 지닌다.
영문 초록
Since the appearance of the word of Digital Nomad, we may have fallen to the myth made by nomadism. Nomadism means the freedom from fixed one. By the way, going to Gilles Delueze and Michel Maffesoli who discussed about nomadism, they interpreted it totally differently. The former is started from ego’s thought and the latter does from the movement of space. Therefore nomadism that we generally think is close to the Maffesoli’s meaning. However he dealt with it within social relations beyond the movement of space. The freedom of thought, double egos, deterritorialization, horizontal networks, rhyzome are the point of Deluze’s nomadism. On the other hand, Maffesoli explained nomadism with the movement of space, multiple subjects, wonder, connection, melting of feelings. Finally we can find out that two have common thing which goes forward to new one. Also, human desires getting out of pressure from fixed one are related to individual identity. This article tries to analyze Wong Kar-wai’s Chungking Express, In the mood for love, 2046 based on two scholars’ nomadism. These three films show human desires wandering for their new identities through the freedom of thoughts and the movement of spaces. Those kind of characters’ desires are represented with splendid visual images in various space.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s between nomads’ desires and their identities in everyday spaces of Wong’s films. Finally we will look over our identities in the modern society.
목차
1. 들어가는 말
2. 노마디즘의 원형적 순환성과 (비)일상성
3. 일상의 공간에서 부유하는 노마드의 욕망들
4. 노마딕 정체성, 욕망하고 방황하는 트랜스아이덴티티
5. 나가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기관과 영화제를 중심으로 살펴본 한국 여성신인감독의 영화계 진출 현황
- 유니버설 클래식 호러 <미이라> 시리즈(1932-1944)에 대한 탈식민주의적 일고찰
- 해외 주요 국가의 영화산업 구조와제도로부터의 정책적 시사점
- 종합적 이미지의 예술과 영상주의
- 영화 <취화선>에서의 풍경 이미지의 논리 구조
- <섬마을 선생>에 나타난 베트남 전쟁과 근대화의 의미
- 영화제작 인력의 예술가로서의 정체성이 전문성과 업무자율성에 미치는 영향
- 욕망이 충돌하는 일상의 공간, 왕가위 영화의 노마디즘 읽기
- 스크린을 통한 군중의 감염과 변화하는 정동의 흐름
- 크라카우어의 도시산책자와 영화관
- 영화연구 제76호 목차
- 영화연구 게재논문 투고, 심사(수정), 게재확정일(한국영화학회 『영화연구』 76호) 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