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otal Art and Photogénie: Cinepoem of Il-soo Choi and Hyun-mok Yu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오준호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76호, 131~174쪽, 전체 4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6.30
8,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최일수와 유현목이 인식했던 시네포엠 개념을 밝히고, <손(1966)>을 통해 개념이 어떻게 실천되었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일수의시네포엠은 근원적인 오브제를 통해 다양한 장르의 예술을 종합하는 영화이다. 이 개념은 그가 장 콕토의 <시인의 피(1930)>로부터 받은 영향을 흡수하여 구축했던 것이다. 유현목의 시네포엠은 이미지 중심의 몽타주로 시상(詩想)을 구현하는 영화이다. 이 개념은 루이 델뤽(Louis Delluc)과 레옹 무시낙(Léon Moussinac) 의 포토제니(photogénie)에 상응하는 것이었다. 유현목은 이 용어를 영상주의로번안하면서 내러티브를 배제한 이미지 중심의 영화로 개념화했고, 이를 통해 외부의 영화적 충격을 실험영화로 규정하면서 흡수해나갈 수 있었다. 최일수와 유현목은 <손>에서 50초라는 상영길이의 한계로 그들의 개념을 충실하게 구현할수 없었으나, <손>은 1920, 30년대 유럽 전위영화의 한국적 수용을 보여준다는점에서 의미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reveal Il-soo Choi’s and Hyun-mok Yu’s concept of cinepoem and analyze how the concept was reified in Hands(1966). Choi’s cinepoem is a cinema of totalizing different forms of art through an archetypal object which can become concretized into a mental picture by poetic spirit. His concept was affected by Jean Cocteau’s the Blood of Poet(1930). Yu’s Cinepoem is a cinema to reach the state of the poem that is the essence of art by juxtaposing images and rejecting narrative. The concept corresponded to photogénie of Louis Delluc and Léon Moussinac. Yu translated photogénie to Yeongsangjuui, so that he could have absorbed the cinematic impacts from abroad while defining them experimental film. Hands was too short to realize their concept. However, Hands is a case to illustrate the acceptance of 1920, 30’s European avant-garde film in Korea.
목차
1. 들어가며
2. 최일수의 시네포엠
3. 유현목의 시네포엠
4. 최일수와 유현목의 시네포엠 - <손>
5. 나오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기관과 영화제를 중심으로 살펴본 한국 여성신인감독의 영화계 진출 현황
- 유니버설 클래식 호러 <미이라> 시리즈(1932-1944)에 대한 탈식민주의적 일고찰
- 해외 주요 국가의 영화산업 구조와제도로부터의 정책적 시사점
- 종합적 이미지의 예술과 영상주의
- 영화 <취화선>에서의 풍경 이미지의 논리 구조
- <섬마을 선생>에 나타난 베트남 전쟁과 근대화의 의미
- 영화제작 인력의 예술가로서의 정체성이 전문성과 업무자율성에 미치는 영향
- 욕망이 충돌하는 일상의 공간, 왕가위 영화의 노마디즘 읽기
- 스크린을 통한 군중의 감염과 변화하는 정동의 흐름
- 크라카우어의 도시산책자와 영화관
- 영화연구 제76호 목차
- 영화연구 게재논문 투고, 심사(수정), 게재확정일(한국영화학회 『영화연구』 76호) 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