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유형별 대남도발 원인에 대한 실증적 분석, 1955-2012
이용수 22
- 영문명
- A Study on Causes of the North Korean Provocations: Empirical Evidence 1955-2012
- 발행기관
- 한국전략문제연구소
- 저자명
- 성기은 황원준 신건
- 간행물 정보
- 『전략연구』제28권 제2호(통권 제84호), 189~21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7.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의 유형별 대남도발에 영향을 주는 북한 외부의 요인과 내부의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북한의 대남도발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먼저 실증적 분석을 위한 조작적 정의에 한계가 있으며, 사례 중심의 질적 접근방법으로 인해 주장을 일반화하는 데 한계가 있다. 기존 연구에 나타난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분쟁 연구에서 많이 활용되는 국가 간 군사화 된 분쟁(Militarized Interstate Dispute) 데이터에서 활용하는 분쟁의 조작적 정의를 적용하여 북한의 대남도발 사례를 분석했다. 1955년부터 2012년까지 발생한 월별 북한 대남도발을 ‘위협,’ ‘군사력 현시,’ ‘군사력 사용’ 으로 구분하여 로지스틱 회기분석(logistic regression)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를 통해 북한의 대남도발은 북한 내부의 요인보다는 외부의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특히 남한과 미국 집권여당의 정치적 이념이 중요한 변수임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북한 내부 변수 중에도 북한의 권력 이양은 군사력을 활용한 대남도발의 가능성을 현저히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흥미로운 결과 중 하나는 북한의 대남도발은 계절적 요인에 강하게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이다. 다른 모든 변수가 통제된 가운데, 월별 대남도발의 가능성이 6월 말과 7월 초에 가장 높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본 연구는 대남도발에 대한 가장 포괄적인 실증적 연구라는데 큰 의의가 있으며, 정책적 차원에서 북한의 대남도발에 대한 대비를 강화해야 하는 상황과 시기를 제시했다는 차원에서 큰 함의를 갖는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influencing each type of the North Korean provocations. Existing studies on the North Korean provocations have several limitations originated from a weak operationalization for key concepts and focusing on an individual case based on qualitative approach. For improving an understanding about the North Korean provocation, this study applied a concrete concept developed by the Militarized Interstate Dispute(MID) dataset for key concepts. Monthly North Korean provocations from 1955 to 2012 were categorized into 'threat,' 'display of force,' and 'use of force' for empirical analysis. Our logistic regression test results showed that external factors rather than internal factors strongly determine the provability of the North Korean provocations. However, 'leadership turnover' variable, as an internal factor, significantly decreases a chance of use of force type provocation. One of interesting findings in our empirical test results is that the probability of the North Korean provocations clearly follows a seasonal distribution. Under control of key independent variables, we found that the probability of provocations is heightened at the end of June and at the early of July. In this work, we conducted the most comprehensive empirical test against data about the North Korean provocations. As a policy implication, this work suggests a temporal periods in which the South Korean government should strengthen a defense readiness against the North Korean provocations.
목차
Ⅰ. 서론
Ⅱ. 북한의 대남도발 원인
Ⅲ. 연구 설계
Ⅳ. 실증적 분석 결과
Ⅴ.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전략연구 제28권 제2호(통권 제84호) 목차
- KRIS 회원가입 안내 외
- 바이든 행정부시기 미·중 패권경쟁과 우리의 대응방향
- 전략경쟁시기의 미중의 대(對) 한반도 전략과 한국의 전략적 선택
- 인간안보가 국가안보에 미치는 영향과 함의에 대한 고찰
- 미국의 대중정책과 바이든의 등장
- 인도·태평양전략 대 일대일로의 충돌 동향과 한국의 외교안보전략
- 북한의 유형별 대남도발 원인에 대한 실증적 분석, 1955-2012
- 통일대비 북한과의 전력부문 협력 연구
- 작전술에 있어 시간과 속도의 통제
- 김정은 북핵(北核)외교 담론분석
- 미국의 입장에서 바라본 한미동맹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