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바이든 행정부의 안보・국방전략과 한국의 대응방향
이용수 32
- 영문명
- Biden Administration's Security and Defense Strategy and S. Korea's Response
- 발행기관
- 한국전략문제연구소
- 저자명
- 설인효
- 간행물 정보
- 『전략연구』제29권 제2호(통권 제87호), 257~296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7.31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초강대국 간 전략경쟁은 미・중 뿐 아니라 미・중・러 경쟁의 복합적 양상으로 전개될 것이 예상된다. 바이든 행정부는 이러한 경쟁이 장기 지속될 것이라 인식하며 앞으로 10년 간 미국이 승리할 수 있는 구조와 여건을 조성하는 전략을 수립하고자 한다. 미국의 안보전략은 동맹 및 파트너 국가 간 협력을 ‘현대화’하는 것을 핵심으로 하는데 이는 ‘다층/다면적 다자주의 망 구축’의 형태로 추진될 것이다. 국방전략의 핵심은 ‘통합 억제’로 지・해・공 뿐 아니라 우주・사이버・전자기 영역의 모든 전력을 통합적으로 운영하고, 국가의 모든 가용한 수단을 통합하여 활용하며, 동맹 및 파트너 국가와의 효과적 연합・합동 작전 역량을 추구해 나가는 것이다. 나아가 통합 억제는 장기적으로 작전개념의 공동 기획, 분업화된 국방건설까지 염두에 두고 있다. 한국은 바이든 행정부 전략의 중장기적 성격을 분명히 이해해야 하며 한국의 달라진 위상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중장기 국방협력 증진 과정에서 4차 산업혁명의 신기술을 활용한 첨단 기술, 무기체계, 전쟁 수행 개념을 적극 확보하고, 새롭게 구축될 인태지역 안보 아키텍쳐에서 한국의 국익이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Due to the Ukraine war, strategic competition between superpowers is developing into a complex pattern of competition between the U.S., China, and Russia, not just between U.S. and China. The Biden administration recognizes that this competition will continue for a long time and wants to establish a strategy to create a structure and conditions for the U.S. to win over the next 10 years. The U.S. security strategy focuses on 'modernizing' cooperation between allies and partner countries, which will be promoted in the form of 'building multi-layered/faceted multilateral networks'. The core of the defense strategy is “integrated defense”, which means, first, to utilize forces in the all 6 domains of land, sea, air, space, cyber space, and electro-magnatics, and second, to integrate and utilize all available means of the country, and the third, to pursue effective combined and joint operations with allies and partner countries. Furthermore, integrated defense also pursues to jointly plan the operational concept and division of labor in defense construction in the long run. South Korea should clearly understand the mid- to long-term nature of the Biden administration's strategy and actively utilize Korea's changed status. In the process of promoting mid- to long-term defense cooperation, efforts should be made to actively secure high-tech weapon systems, and advanced war-fighting concepts using new technologi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o reflect Korea's national interests in the newly built security architecture in the Indo-Pacific region.
목차
Ⅰ. 서론
Ⅱ. 바이든 행정부 안보환경 및 위협인식
Ⅲ. 바이든 행정부 안보・국방전략 전망
Ⅳ. 바이든 행정부 하 한국에 대한 도전과 기회
Ⅴ. 결론: 한국의 대응방향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전략연구 제29권 제2호(통권 제87호) 목차
- 영국 해군력 발전과정에서의 영향요인 분석을 통한미래 한국해군 발전방향에 대한 고찰
- 국방기획 관점에서 본 전략방위구상(SDI) 추진과정
- 『국방비전 2050』과 국방 연구개발 정책결정요인간의 관계와 함의
- 북한 독재체제의 경제 개혁 개방 가능성에 대한 고찰
- 바이든 행정부의 안보・국방전략과 한국의 대응방향
- KRIS 회원가입 안내 외
- 우크라이나 전쟁
- 우크라이나전쟁 전후 국제질서, 미중관계와 우리의 대응전략
- 4차 산업혁명 시대 한국군의 군사혁신에 관한 고찰
- 미·중 전략적 경쟁 시대 경제안보의 부상과 한국의 전략적 선택지
- 러시아 국가안보 전략 평가와 영향
- 하이브리드 전쟁의 역설
-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러시아의 작전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