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아동의 사회적 유능성 증진을 위한 기초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The preliminary study for social competence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exploration of the constructs on social competence for elementary students based on implicit theory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이미아 강영심 김재은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0권 제1호, 53~7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3.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아동의 사회적 유능성 증진을 위한 기초연구로, 장애아동을 포함한 일반아동들이 다양한 사회적 상황에서 긍정적인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데 필요한 사회적 유능성은 어떠한 요인으로 구성되는지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초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와 교사를 대상으로 사회적으로 유능한 아동들이 보이는 행동은 어떠한지 개방형 질문지를 통해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개방형 설문지를 통해 개발된 문항들에 대해 관련전문가들의 검토를 거친 후 설문지를 제작하여 초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 260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초등학생들의 사회적 유능성은 공감, 외향성, 자기관리, 정서조절, 표현성, 사회적 지식 이해 등 6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초등학생들의 사회적 유능성은 또래나 대인관계와 관련된 사회적 기술뿐만 아니라 성격이나 인지 등과 같은 다양한 요인들으로 구성된 복합적이고 다면적인 특성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사회적 유능성이 떨어지는 아동의 지도 및 중재를 위해 사회적 유능성의 한 구성요인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닌 기타 영역도 고려하여 다면적으로 접근하여 문제를 파악하고 중재를 실시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preliminary study for social competence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disability and to explore the constructs on social competence. The process of instrument development was completed in two phases. The first phases involved making items. Participants were 187 from both regular school teachers and mothers of elementary-school students. The subjects answered open-ended questionnaire related to characteristics of socially competent students. The number of items obtained from the questionnaire is 63. The second phases was conducted with 260 mothers with elementary-school students to confirm constructs of social competence. And this phases was conducted to define the conceptual framework of the social competence of elementary-school students.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ocial competence of elementary-school students are classified into six factors: empathy, extroversion, self-management, emotion control, expressivity, social knowledge understanding. And Cronbach alpha for total 45 items was .94, and cronbach alpha of subscales ranged from .76.~91. These values were quite adequat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장애 학생의 교수-학습을 위한보조공학 지원 모형 개발
- 청각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기술 향상을 위한 부모지원-가정중재프로그램의 내용 연구
- 사회적응훈련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인의 전환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 수도권 지역 초등학교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태 조사
- 일반학생의 성공적인 초등학교생활 적응에 필요한 기술에 대한 교사의 인식
- 아스퍼거 장애 아동을 위한 통합교육 전략
- 정신지체학생의 성격 특성 연구
- 통합학급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프로그램이 교수행동 및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 통합된 전통놀이 프로그램이 일반 아동의 장애수용태도와 정신지체아동의 친사회적행동에 미치는 효과
- 중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사회불안에 대한 학업성취도의 영향에 관한 연구
- 장애아동의 사회적 유능성 증진을 위한 기초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에서 교양 법학 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기반 수업설계 경험과 배움 의미 탐색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의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