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회적응훈련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인의 전환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 of Social Adjustment Training Program on Transitional Skills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박재국 김영미 김혜리 구신실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0권 제1호, 239~25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3.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회적응훈련 프로그램을 통하여 발달장애인의 전환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봄과 동시에 사회적응훈련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가능성을 검토하고, 나아가 학령기 이후 발달장애인의 전환교육 계획 및 실시에 있어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부산지역 특수학교 전공과 및 복지관에서 교육받고 있으며 발달장애로 진단받은 만 20세~40세 사이의 발달장애인(실험 N=15/ 통제 N=15)을 대상으로 개인생활, 직업생활, 자립생활로 구성된 사회적응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전환능력검사를 통해 사전과 사후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예비조사를 포함한 프로그램은 2007년 6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총 32회기(주 2회씩)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각 영역별 전환수행능력 변화 수준을 t검증을 통해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주된 결론을 얻었다.첫째, 실험집단의 전체 전환능력은 전 영역(개인생활, 직업생활, 교육, 자립생활)에 걸쳐 사후에 크게 향상되었으며, 통제집단의 경우도 개인생활영역을 제외한 세 영역에서 사후에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대인관계 및 자아통제와 관련된 항목으로 구성된 개인생활 영역에 대한 집중 교수의 필요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향후 사회적응훈련 프로그램에서는 보다 대인관계기술 향상을 목적으로 한 훈련을 집중적으로 실시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둘째, 하위 영역 중 개인생활에서는 실험집단의 여가생활이, 직업생활에서는 실험집단의 전 하위항목과 통제집단의 구직에 대한 사후 향상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에서는 실험집단의 전 하위 항목과 통제집단의 읽기 및 수학이, 자립생활에서는 실험집단의 일상생활능력과 개인안전에서 높은 향상정도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보다 장기적인 학습 및 대인관계기술을 요하는 항목들에 대한 개별교수의 필요성을 시사함과 동시에 이력서 쓰기, 자기소개서 쓰기와 같은 구직을 위한 실습도 중요하지만 성공적인 직장생활을 위한 기본적 태도 함양 및 기초직업지식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체계적 훈련도 시급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transitional performance ability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by social adjustment training program. The effect of the transitional performance ability was investigated four areas for the performance ability of personal living, the performance ability of vocational living, the performance ability of education and the performance ability of independent living. This study was analyzed into post test-only control group design, totally 30 development disability persons(15experimental group, 15control group) who have chronological age from 20 to 40 of the specialized major course in two special schools and one social welfare center in Busan City. The social adjustment training program was conducted totally 32sessions, twice a week for the four months. The concrete findings of this purpose is as follows. First, the performance ability of personal living of experiment group was more improved after doing the social adjustment training program than control group. Second, the performance ability of vocational living of experiment group was more improved after doing the social adjustment training program than control group. Third, the performance ability of education of experiment group was more improved after doing the social adjustment training program than control group. Fourth, the performance ability of independent living of experiment group was more improved after doing the social adjustment training program than control group.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장애 학생의 교수-학습을 위한보조공학 지원 모형 개발
- 청각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기술 향상을 위한 부모지원-가정중재프로그램의 내용 연구
- 사회적응훈련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인의 전환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 수도권 지역 초등학교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태 조사
- 일반학생의 성공적인 초등학교생활 적응에 필요한 기술에 대한 교사의 인식
- 아스퍼거 장애 아동을 위한 통합교육 전략
- 정신지체학생의 성격 특성 연구
- 통합학급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프로그램이 교수행동 및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 통합된 전통놀이 프로그램이 일반 아동의 장애수용태도와 정신지체아동의 친사회적행동에 미치는 효과
- 중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사회불안에 대한 학업성취도의 영향에 관한 연구
- 장애아동의 사회적 유능성 증진을 위한 기초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