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반학생의 성공적인 초등학교생활 적응에 필요한 기술에 대한 교사의 인식

이용수  0

영문명
Teachers' Perception on Skills Essential for Elementary School Success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김은경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0권 제1호, 23~51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3.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성공적인 학교생활을 위해 필요한 영역과 하위 기술에 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으로, 이를 위해 서울경기강원인천대전의 초등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일반교사 153명, 특수학급교사 44명, 총197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하였다. 연구 도구는 연구자가 관련 도구 및 선행 문헌을 기초로 개발된 5개 핵심 영역과 총7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초등학생이 성공적인 학교 생활을 하는데 우정/또래 관계 형성과 교실생활 영역이 가장 중요하며 그 다음으로 감정 대처, 공격성 대처, 스트레스 대처 순으로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별 핵심 영역 및 기술에 관한 인식에서는 스트레스 대처 영역을 제외한 다른 네 영역의 하위 기술 중 1순위로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기술이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대처 영역에서는 저학년(1-3학년)에서는 문제유발 원인을 파악하기를, 고학년(4-6학년)에서는 불만 표현하기를 가장 중요한 기술하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수교사와 일반교사가 다섯 가지 핵심 영역의 중요도를 동일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각 영역별 핵심 기술의 1순위로 중요하다고 인식한 기술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단지 감정대처공격성대처스트레스대처 영역의 하위 핵심 기술에서 2순위와 3순위로 중요하게 인식하는 순서가 다르게 나타났지만 3순위내 해당 핵심 기술은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한 논의가 제시되어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 on skills for elementary school success. The target population for the study were 197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cluding 153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44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related literature and instruments. It contained 5 domains and 75 items. Results indicated that teachers recognize friendship/peer relationship making and classroom survival as the most important areas for elementary school success and dealing with feeling, alternatives to aggression, dealing with stress in order.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relatively similar in their perception regarding the importance of the area and the skill essential for school success. Across the grade span, teachers shared similar views on the importance.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eacher perception across different types of terachers(general versus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across the grade span. Conclusions and the direction for future standardization studies were addre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경. (2008).일반학생의 성공적인 초등학교생활 적응에 필요한 기술에 대한 교사의 인식. 특수아동교육연구, 10 (1), 23-51

MLA

김은경. "일반학생의 성공적인 초등학교생활 적응에 필요한 기술에 대한 교사의 인식." 특수아동교육연구, 10.1(2008): 23-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