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신지체학생의 성격 특성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김정은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0권 제1호, 215~23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3.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정신지체학생들의 성격특성을 관련변인(학교급별, 연령별, 거주환경, 장애정도, 성별)에 따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초, 중, 고등학교 정신지체학생 45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외부지향성, 충동성, 효능동기, 긍정적 반응경향성, 순종, 부정적 반응경향성, 불안정성 요인으로 구성된 정신지체학생용 성격검사도구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성격특성 평정점수 전체에 대하여 관련변인들의 차이를 구한 결과는 거주환경과 장애정도, 성별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학년수준과 교육장면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사후검증 결과 초등 저학년과 중학부, 초등 저학년과 고등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정신지체학생의 성격 검사도구의 하위요인을 관련변인에 따라 비교 검증한 결과, 학년수준, 교육장면, 거주환경, 장애정도에 따라서는 하위요인에서 각각 유의한 차를 보였다. 즉, 학년수준에서는 충동성과 불안정 요인에서 집단 간 차이를 보였으며, 교육장면에서는 외부지향성, 긍정적 반응경향성, 효능동기, 순종의 요인에서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또한 거주환경에 따른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긍정적 반응경향성과 부정적 반응경향성에서 집단 간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고, 장애정도에서는 충동성과 순종 요인에서 집단 간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성별에 따라서는 전체점수뿐만 아니라 하위요인에서도 집단 간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ir personality rating data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variables of them. The subjects of the survey 452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For analysis on characteristics of their personality, ANOVA, t-test method were used. According to these method, total personality rating data were analyzed to characteristic variables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these include grade level, educational situation, dwelling environment, degree of the impairment. The t-test analysis showed that no statistically difference in the personality rating marks by dwelling environment, degree of the impairment. But there were difference significant meaningfully in grade level, educational situation. Therefore, the results of MANOVA comparing with the subcategories of personality rating scales by characteristic variables were proved significant meaningful difference about all 7factors. We established effectiveness of the this instrument, the personality rating scale teacher form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through testing highly reliability and validity. Therefore, this instrument could be applicable to the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as a personality assessment resource of them. Through this results, if more research on characteristics of their personality, these results were utilized as a assessment resources to understand and intervene program improving positive personality for them.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장애 학생의 교수-학습을 위한보조공학 지원 모형 개발
- 청각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기술 향상을 위한 부모지원-가정중재프로그램의 내용 연구
- 사회적응훈련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인의 전환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 수도권 지역 초등학교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태 조사
- 일반학생의 성공적인 초등학교생활 적응에 필요한 기술에 대한 교사의 인식
- 아스퍼거 장애 아동을 위한 통합교육 전략
- 정신지체학생의 성격 특성 연구
- 통합학급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프로그램이 교수행동 및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 통합된 전통놀이 프로그램이 일반 아동의 장애수용태도와 정신지체아동의 친사회적행동에 미치는 효과
- 중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사회불안에 대한 학업성취도의 영향에 관한 연구
- 장애아동의 사회적 유능성 증진을 위한 기초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