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DHD 유아와 일반 유아의 사회적 기술 지식과 수행력 비교
이용수 0
- 영문명
- Comparison of Social Skills Knowledge and Performance between Preschooler with and without ADHD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김경자 김자경 김지훈 정세영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4권 제2호, 363~37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6.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ADHD 유아와 일반 유아의 사회적 기술 지식과 수행력의 비교하여 ADHD 유아의 사회적 기술 결함을 조사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K소아정신과와 P대학병원 소아정신과에서 ADHD로 진단받은 ADHD 유아 13명과 P시 사립유치원에 재원하고 있는 일반 유아 13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기술 지식검사와 수행력 검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ADHD 유아와 일반 유아의 사회적 기술 지식과 수행력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DHD 유아와 일반 유아의 사회적 기술 지식을 비교한 결과,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상황별 수준을 비교한 결과, 갈등 상황과 지지 상황에서 일반 유아의 사회적 기술 수준이 높았으나 잠재적 개입 상황에서는 ADHD 유아와 일반 유아의 사회적 기술 지식에 있어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ADHD 유아와 일반 유아 간의 사회적 기술 수행력을 비교한 결과, ADHD 유아의 사회적 기술 수행력은 일반유아에 비해 낮게 나타났는데, 하위영역인 문제해결, 정서표현, 질서의식, 자신감의 모든 영역에서 ADHD 유아가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셋째, ADHD 유아와 일반 유아의 사회적 기술 지식과 사회적 기술 수행력의 관계를 살펴 본 결과, ADHD 유아와 일반 유아 모두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ADHD 유아의 사회적 기술 결함에 있어 사회적 기술 지식과 사회적 기술 수행력의 각각에 교육과 중재가 제공되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level of social skills of preschooler with ADHD through a comparison of social skills knowledge and performance between preschooler with and without ADH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irteen 5~6 year-old preschoolers with ADHD in P private kindergarten diagnosed by the child psychiatrist and 13 preschooler without ADHD whose genders and ages were matched with those with ADHD. Questionnaires according to the social skills knowledge and performance were conducted to the individual child. The result of the study was as follows: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level of social skills knowledge between the groups. Preschoolers without ADHD showed higher levels of social skills knowledge in both conflict and support situation. However, no group difference was found on social skills knowledge in potential involvement situation.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level of social skills performance between the groups. Preschoolers with ADHD showed lower levels of social skills performance in the categories of problem solving, emotional expression, sense of order and confidence. Third,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social skills knowledge and performance for both preschooler with and without ADHD.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e need for intervention of social skills knowledge and performance for preschooler with ADH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애 이해 프로그램 연구 동향 분석
- 개선율 차이 기법을 활용한 그림교환 의사소통 체계(PECS) 중재 메타분석
- 통합교육 문제점에 대한 질적 연구
- 중등 예비일반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 학습부진아동의 문식성 연구
- 초등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 교사의 수학과 운영 실태 및 개선방안 분석
- 장애학생을 위한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구성내용 탐색 연구
-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농중복장애학생 수업에 대한 인식 연구
- 총체적 언어 접근법을 적용한 언어중재가 학습지진아의 접속부사 이해와 산출에 미치는 효과
-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장애’ 관련 활동 분석
- ADHD 유아와 일반 유아의 사회적 기술 지식과 수행력 비교
- 삽입교수가 통합된 발달지체 유아의 의사소통 기술에 미치는 영향
- 정신연령을 통제한 자폐장애 아동과 비장애 아동의 생각의 원리와 실행기능의 과제수행 능력 비교
- UN 장애인권리협약에 따른 완전통합교육으로의 전환
- The Effects of Writer Immersion on the Functional and Structural Components of Writing with Middle School Students
- 이중결함가설에 따른 읽기장애 하위유형의 특성과 읽기 하위기술 간 차이
- 균형적인 문해프로그램이 언어발달지체 아동의 조사, 어미 및 구문능력에 미치는 효과
- 정신지체 특수학교 과학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의 구성요소와 구조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연쇄적 베이지안 추론을 적용한 학습전략 사용 및 효과 판단의 착각현상 분석
- 중국인 유학생 대상 해결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K대학교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 일상 속 인성덕목을 반영한 유아인성교육 실천방안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의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