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각장애 아동의 읽기능력 차이에 따른 정서적 조망수용능력의 발달적 특징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Affective Perspective-Taking in Deaf Children: Differences in Reading Ability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김은하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9권 제4호, 167~18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정서적 조망수용능력이란 타인이 감정을 추측하는 능력을 일컫는다. 본 연구는 청각장애 아동의 읽기능력의 차이에 따른 정서적 조망수용능력의 특징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과제는 동일 내용의 비언어과제와 언어과제, 그리고 각 과제별 두 단계 난이도(기본적 감정/맥락적 감정 과제)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대상은 청각장애학교 초등부 1∼6학년생 1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아동들은 읽기능력과 학년별로 6개 그룹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그 결과 읽기 능력이 높은 아동은 정서적 조망수용능력이 건청 아동과 비슷한 수준을 나타내며 발달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읽기능력이 낮은 아동은 기본적 감정이해는 저학년부터 충분히 가능하지만 맥락적 감정이해는 저학년부터 고학년까지의 과제성적의 향상이 나타났지만 고학년에서도 낮은 성적을 나타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 기본적 감정이해는 읽기능력의 차이가 드러나지 않지만 맥락적 감정이해과제는 읽기능력에 따른 성적 차이가 현저하게 나타나며, 읽기능력 뿐만 아니라 이차적 추측과 같은 인지능력이 관련된다는 점이 시사되었다.
영문 초록
Purpose: Affective perspective-taking (APT) refers to the ability to understand how others feel, which is known to be difficult for deaf childre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APT in deaf children with different levels of reading ability. Method: The measures consisted of non-verbal and verbal tasks that were differed in linguistic load, and each task had two levels of difficulty (basic emotions and contextual emotions). The participants—100 deaf children in the 1st to 6th grades of an elementary school for the deaf—were divided into 6 groups by grade and reading ability. Results: Both reading ability groups showed high scores from lower to upper grades on basic emotion tasks. However, the lower reading ability group showed lower scores than the higher reading ability groups in contextual emotion tasks, even though the higher reading ability groups showed good scores in these tasks.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understanding the flow of a story and the accompanying emotions elicited in characters with only pictures or texts would be difficult for lower reading ability deaf students, and higher reading skills and cognitive ability would be required to understand to contextual situation and the emotions of oth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적장애 특수학교 과학 수업에서의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 청각장애 아동의 읽기능력 차이에 따른 정서적 조망수용능력의 발달적 특징에 관한 연구
- 단어읽기전략을 활용한 읽기훈련이 자폐성장애 학생의 내용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 일반학교 예비교사들의 특수교육학개론 이수과정에서 흥미, 이해, 협동학습 간의 상호관계 분석
- 인공와우이식아동과 건청아동 간의 암묵적 학습능력과 읽기폭과제 수행 비교
-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 연구 메타분석
- 자극-자극 조건화 절차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유아의 상동행동과 사물조작놀이행동에 미치는 효과
- 음운인식 중재가 청각장애 유아의 음운인식 능력과 조음오류 개선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