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음운인식 중재가 청각장애 유아의 음운인식 능력과 조음오류 개선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s of a Phonological Awareness Intervention on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and Improvement of Articulation of Infants with Hearing Impairment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이서옥 최상배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9권 제4호, 69~8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는 음운인식중재를 통해 청각장애 유아의 음운인식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와 조음오류의 개선에 영향을 미치는지의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청각장애학교에 재학 중인 만 3세 유아 3명으로 선정하였다. 청각장애 유아의 음운인식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과제수준별로는 음절수준에서 실시하였고 과제유형별로는 합성, 생략, 대치에서 실시하였다. 음운인식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음운인식능력 평가지를 만들어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청각장애 유아의 음운인식능력이 전반적으로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음절수준에서 합성, 생략, 대치 모두 향상이 되었고 합성, 생략, 대치의 순서대로 습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청각장애 유아의 조음오류가 개선이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연구결과 음운인식중재를 통해 음운인식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조음 오류개선에도 도움이 되기 때문에 음운인식에 대한 교육이 필요함을 나타낸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 phonological awareness intervention on the improvement of a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and articulation errors in infants with hearing impairments.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elected as three year old students attending a school for the hearing impair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of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s, task level assessment was conducted at syllable level and each task type consisted of synthesis, omission, and substitution. To evaluate the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a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evaluation paper was constructed and evaluated. Results: First, the study found that the phonological awareness of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s improved overall. At the syllable level, synthesis, omission, and substitution were all improved, and in the order of synthesis, omission, and substitution.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articulation accuracies of the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s were improved.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 that a phonological awareness intervention is effective for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s and that phonological awareness education is necessar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적장애 특수학교 과학 수업에서의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 청각장애 아동의 읽기능력 차이에 따른 정서적 조망수용능력의 발달적 특징에 관한 연구
- 단어읽기전략을 활용한 읽기훈련이 자폐성장애 학생의 내용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 일반학교 예비교사들의 특수교육학개론 이수과정에서 흥미, 이해, 협동학습 간의 상호관계 분석
- 인공와우이식아동과 건청아동 간의 암묵적 학습능력과 읽기폭과제 수행 비교
-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 연구 메타분석
- 자극-자극 조건화 절차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유아의 상동행동과 사물조작놀이행동에 미치는 효과
- 음운인식 중재가 청각장애 유아의 음운인식 능력과 조음오류 개선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