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극-자극 조건화 절차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유아의 상동행동과 사물조작놀이행동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Effects of Stimulus-Stimulus Conditioning Procedure On Stereotypy and Object Manipulation Play Behaviors in a Chil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김민영 박혜숙 최진혁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9권 제4호, 145~16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자극-자극 조건화 절차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유아의 상동행동과 사물조작놀이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자폐스펙트럼장애 남자아동 1명을 대상으로 지연된 행동 간 중다 간헐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독립변인은 자극-자극 조건화 절차로써 목표 사물조작놀이행동을 촉구하고 이와 동시에 칭찬 및 음식과 같은 선호 자극을 동시 제공하였다. 종속변인으로 상동행동과 사물조작놀이행동 발생률을 측정하였다. 일반화 측정을 위해 중재 장소 및 일반화를 위한 장소에서 각각 상동행동과 사물조작놀이행동 발생률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극-자극 조건화 절차를 통해 상동행동은 감소하고 사물조작놀이행동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화에서도 상동행동과 사물조작놀이행동의 변화가 관찰되었다. 연구 결과 상동행동과 사물조작놀이행동의 기능적 관계가 입증되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상동행동을 보이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유아에게 자극-자극 조건화 절차 통한 놀이행동 중재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임상 현장에서의 실제적 적용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timulus-stimulus conditioning procedures on the stereotypy and play behavior. Method: A delayed multiple probe across behaviors was employed to identify a potential functional relation between the dependent and independent variables. The participant of this study was a child diagnose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a stimulus-stimulus conditioning procedure in which the participant’s appropriate play behavior was paired with the preferred reinforcers such as praises and edibles.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the number of intervals with the appropriate a) block-play, b) puzzle-play, c) looking at books, and d) vocal and physical stereotypy. The major dependent variables were measured during the multiple 5-min probe sessions by using 5-sec intervals recording. In order to identify generalization, moreover, the probe sessions were conducted at both settings of intervention-place (i.e., table) and novel place (i.e., newley arranged free play area). Results: The data depict that the stereotypy decreased significantly as the play behaviors increased with the stimulus-stimulus conditioning procedure. In generalization, the improvement of the target play behaviors and stereotypy were also observed. As a result of the study, a functional relation between the dependent variables(i.e., play behaviors and stereotypy) and independent variables (i.e., stimulus-stimulus pairing procedure) was identified. Conclusion: In conclusion, the contribution of this research would be that the stimulus-stimulus pairing procedure would be able to provide the positive effects with children showing stereotypy and inappropriate play behaviors during free play setting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적장애 특수학교 과학 수업에서의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 청각장애 아동의 읽기능력 차이에 따른 정서적 조망수용능력의 발달적 특징에 관한 연구
- 단어읽기전략을 활용한 읽기훈련이 자폐성장애 학생의 내용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 일반학교 예비교사들의 특수교육학개론 이수과정에서 흥미, 이해, 협동학습 간의 상호관계 분석
- 인공와우이식아동과 건청아동 간의 암묵적 학습능력과 읽기폭과제 수행 비교
-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 연구 메타분석
- 자극-자극 조건화 절차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유아의 상동행동과 사물조작놀이행동에 미치는 효과
- 음운인식 중재가 청각장애 유아의 음운인식 능력과 조음오류 개선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