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 연구 메타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s of Art Therapy on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Korean Context: A Meta-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박영근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9권 제4호, 25~4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적용된 미술치료 연구의 전반적인 효과와 각 조절변인별 중재 효과의 크기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방법: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연구 18편 중 34개의 연구 사례를 선정하여 각 연구에서 제시한 결과를 메타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전반적 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적장애인들에게 상당히 큰 효과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발달기별 평균 효과크기는 초등학생, 성인, 고등학생, 중학생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소속유형별로 평균 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작업활동시설의 성인과, 특수학급에 소속된 지적장애 학생들에게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술치료 유형별 평균 효과크기는 집단미술치료와 개별미술치료 모두에서 큰 효과를 보여주었다. 미술치료 중재 회귀별 평균 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회귀의 길이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미술치료 1회기당 시행시간별로 평균 효과크기를 비교해 본 결과도 미술치료 1회기 길이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주당 시행횟수별 비교에서는 주당 시행횟수가 많을수록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유형 중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집단 구성원 수에 따라서는 집단별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지적장애인을 위해 미술치료 중재를 활용할 때 반드시 미술치료사는 효과적인 미술치료 중재를 위한 환경조성을 위해 노력해야만 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verall effect size of art therapy on the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ID) and the difference of effect size according to moderator variable. Metho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 meta-analysis of 34 research cases in 18 articles using art therapy for people with ID was conducte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rt therapy had high effect size on people with ID in general. The mean effect size according to each developmental period was in the orde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dults, high school students,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mean effect size according to affiliation was higher for people with ID of working activity center and special classroom than other group students. In terms of art therapy types, both group and individual art therapy showed high effect size. There was no difference of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length of art therapy and the hours of each art therapy. The effect size of art therapy was higher when art therapy was implemented more often.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of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number of member in group art therapy. Conclusion: When using art therapy interventions for people with ID, art therapists have to consider the effective art therapy environmen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적장애 특수학교 과학 수업에서의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 청각장애 아동의 읽기능력 차이에 따른 정서적 조망수용능력의 발달적 특징에 관한 연구
- 단어읽기전략을 활용한 읽기훈련이 자폐성장애 학생의 내용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 일반학교 예비교사들의 특수교육학개론 이수과정에서 흥미, 이해, 협동학습 간의 상호관계 분석
- 인공와우이식아동과 건청아동 간의 암묵적 학습능력과 읽기폭과제 수행 비교
-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 연구 메타분석
- 자극-자극 조건화 절차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유아의 상동행동과 사물조작놀이행동에 미치는 효과
- 음운인식 중재가 청각장애 유아의 음운인식 능력과 조음오류 개선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