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적장애 특수학교 과학 수업에서의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Science Classes of a Special School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bout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Breakdown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강창욱 박선희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9권 제4호, 115~144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지적장애 특수학교 과학 수업 시간에 나타나는 교사-학생 간 언어적 비언어적 상호작용을 소통과 단절 현상 중심으로 현장에서 실제로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탐색해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지적장애 특수학교의 과정별 12개의 학년의 과학교과 수업을 관찰하였다. 수업과 면담내용을 비디오 녹화 및 녹음한 후 이를 전사하여 분석 자료를 얻었다. 연구결과: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적장애 특수학교 과학 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에서 소통과 단절 현상은 총 56가지의 유형이 나타났다. 첫째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에서 소통을 일으키는 하위 범주는 35가지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학생 반응 중 74%가 소통 범주에 포함되었으며, 소통을 일으키는 현상에서는 요청하는 언어와 긍정적인 감정 고취 전략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사-학생 반응 중 26%가 단절을 일으키는 범주에 포함되었으며, 단절을 일으키는 현상에서 요청하는 언어와 신체적인 움직임 통제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교육 시사점에 대해 논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science classes of a special school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ile focused on the mutual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breakdown. Method: This study collected qualitative data from observations of the sciences classes given by 12 grades. The authors provided descriptions of the data, followed by a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the data.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56 sets was found as the types of mutual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breakdown in the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science classes. The findings from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74% of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fall on mutual communication category, whereas the rest falls on communication breakdown category. Second, the requesting speech turned out high in the linguistic interactions which bring about communications, and strategies for encouraging positive affect turned out high in the non-linguistic interactions. Third, the requesting speech turned out high in the linguistic interactions which bring about communication breakdowns, and controls of physical movements turned out high in the non-linguistic interactions.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implications of education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창욱,박선희. (2017).지적장애 특수학교 과학 수업에서의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9 (4), 115-144

MLA

강창욱,박선희. "지적장애 특수학교 과학 수업에서의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9.4(2017): 115-1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