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반학교 예비교사들의 특수교육학개론 이수과정에서 흥미, 이해, 협동학습 간의 상호관계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n Analysis of Inter-relationship among Interest, Understanding, and Cooperative Learning in the Special Education Introductory Course for the Pre-service Teachers in General Schools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이황원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9권 제4호, 89~114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는 일반학교에서 통합교육을 담당할 예비교사들의 특수교육의 기초소양을 함양하기 위하여 사범대학 교직 필수과목으로 지정된 특수교육학개론의 수업을 집단조사(GI) 협동학습방식으로 진행하고, 이 과목에 대한 이해, 흥미, 협동학습이 어떤 상호작용을 하는지 분석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연구방법: 이 연구를 위해 설문지가 개발되었으며, 설문지는 선택형 총 31문항과 기술형 4문항이 제작되어 활용되었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통계처리를 위하여 IBM SPSS 22.0과 AMOS 22.0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먼저 배경변인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일반학교 예비교사의 특수교육학개론 과목에 이수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 흥미, 협동학습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및 소그룹의 협동학습 변인의 상호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일반학교 예비교사의 특수교육학개론의 흥미에 있어서는 학과별, 통합교육의 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다중회귀분석결과 일반학교 예비교사가 인식하는 특수교육학개론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 흥미, 그리고 협동학습 간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협동학습과 이해는 가장 상관성이 높은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로분석의 결과 소그룹의 학습 및 발표주제에 대한 GI협동학습의 적절한 운영은 예비교사의 특수교육학개론에 대한 이해와 흥미, 참여를 유발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GI협동학습에서 참여가 의사소통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결론적으로 협동학습은 특수교육학개론의 전체적인 흥미와 이해를 상승시키는 변인임을 알 수 있다. 세부적으로 소그룹별 GI협동학습의 적절한 운영은 특수교육학개론에 대한 이해와, 흥미,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협동학습에서 참여는 의사소통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특수교육학개론을 협동학습을 통해 이수할 경우에 교사의 자질함양에 기여할 수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focused on analyzing inter-relationship among understanding, interest, and cooperative learning in the special education introductory course, which was designated as a compulsory basic unit of teacher’s education curriculum for pre-service teachers in general schools. Method: The questionnaire was designed and used for this study. It included 31 items of multiple choice types and 4 items of descriptive types. The 231 pre-service teachers took part in the questionnaire surve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statistical package of IBM SPSS 22.0 and AMOS 22.0. The independent sample t test and ANOVA was applied to examine the background variable differences. In order to investigate inter-relationship among understanding, interest, and cooperative learning in the special education introductory course, multiple regression and path analysis was used. Results: First, it appeared that an interest on the introduction of special education course in pre-service teachers made statistical differences according to their departments and experiences in secondary schools. Second, it was found that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ter-relationship among understanding, interest, and cooperative learning in the special education introductory course for pre-service teachers showed statistic significance. The two variables both cooperative learning and understanding was highly correlated. Third, the results showed that in path analysis proper operation of cooperative learning in a small group appeared to be a factor which stimulated understanding, interest, participation in the special education introductory course. Conclusion: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an appropriate implementation of cooperative learning for special education introductory course might contribute to upgrade the expertises on special education of pre-service teachers in inclusive school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황원. (2017).일반학교 예비교사들의 특수교육학개론 이수과정에서 흥미, 이해, 협동학습 간의 상호관계 분석. 특수아동교육연구, 19 (4), 89-114

MLA

이황원. "일반학교 예비교사들의 특수교육학개론 이수과정에서 흥미, 이해, 협동학습 간의 상호관계 분석." 특수아동교육연구, 19.4(2017): 89-1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