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The Effects of TPRA Peer Monitoring Training on the Obsesrvational Learning and Improvement of Spelling Objectiv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SD

이용수  0

영문명
TPRA를 이용한 또래 모니터링 훈련이 ASD 초등학생의 관찰학습능력과 철자에 미치는 효과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최진혁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20권 제4호, 57~79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교사수행 속도 정확도 측정 절차(TPRA)를 적용한 또래 모니터링 훈련이 자폐스펙트럼장애를 가진 초등학생의 관찰을 통한 학습 능력(Observational Learning)과 철차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자폐스펙트럼장애로 진단받은 미국 초등학생 3명이 본 실험에 참가하였으며, 종속변인이 독립변인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법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종속변인으로 또래학생에게 미리 정해진 교수자극을 이용하여 학습 시행 단위(런유닛)을 제공하는 교수를 실험참가자가 관찰한 후에 동일한 교수자극이 목표 실험참가자는 주어졌을 때 실험참가자가 보이는 정반응 횟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또래교수 중에 실험참가자가 또래에게 제공하는 학습 시행 단위(런유닛)의 정확도를 종속변인으로 측정하였다. 연구자는 독립변인으로 또래교수 절차에 TPRA을 이용한 또래 모니터링 훈련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및 결론: 실험 결과에 따르면, 관찰을 통한 학습 능력(비직접적 학습 관찰에 대한 정반응 횟수)을 측정하는 간헐 기초선 중 정반응이 증가하였다. 또한 실험참가자가 또래아동에게 제공하는 학습 시행 단위(런유닛)의 정확도가 증가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experiment analyzed the effects of a peer monitoring training procedure using Teacher Performance Rate and Accuracy observation procedure(TPRA) embedded in the peer tutoring on the emergence of the observational learning capability for spellings. Method: Thre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SD served as the participants, who showed the below-grade-level spelling abilities. The experiment used a multiple probe across participants design.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the number of correct responses emitted by the participants in the observational learning probe sessions. During the probe, the participants observed their peer confederate receiving Learn Units for spelling, and then were probed for the correct responses to the same spelling test trials. The TPRA peer monitoring training was implement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Results & Conclusion: Results indicated that the observational learning capability significantly increased following the TPRA peer monitoring training embedded in the peer tutoring for three target participants.

목차

I. Introduction
II. Method
III. Results
IV. Discus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진혁. (2018).The Effects of TPRA Peer Monitoring Training on the Obsesrvational Learning and Improvement of Spelling Objectiv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SD. 특수아동교육연구, 20 (4), 57-79

MLA

최진혁. "The Effects of TPRA Peer Monitoring Training on the Obsesrvational Learning and Improvement of Spelling Objectiv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SD." 특수아동교육연구, 20.4(2018): 57-7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