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 Comparative Study Between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spectives regarding Gender Stereotyping in Nepal
이용수 0
- 영문명
- 네팔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성 고정관념에 대한 비교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정대영 스므리띠 라이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20권 제4호, 81~9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는 특별히 네팔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성 관련 이슈에 대한 견해의 차이에 초점을 맞추었다. 연구방법: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조사 대상은 전체 100명으로서 카투만두 벨리 소재 특수학교와 일반학교에서 각각 50명씩 무선표집되었다. 데이터는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분석되었으며,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두 집단은 성 관련 이슈에 대한 관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를 통해 특수교사와 일반교사는 성관련 이슈에 대한 지각 차원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을 것으로 추론된다. 특수교사는 사춘기와 운동 기술 습득과 같은 신체적 및 생물학적 관점에서 성적 차이가 존재한다는데 더욱 동의하였다. 반면에 일반교사는 학습 스타일, 스트레스 대처, 훈육과 창의성과 같은 정신적 측면에서 성적 차이가 있다는 점에 더욱 동의했다. 결론: 성 문제는 매우 복잡하고, 교사들은 성 관련 이슈와 관련하여 교육과 훈련을 받아야 할 것이다. 성관련 전문 교육은 교사들로 하여금 학교와 교실에서 부정적인 성적 고정관념을 최소화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focused on the differences in perspectives of general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garding gender related issues. Method: For this purpose, data was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participants were selected via random sampling method. 100 teachers from Kathmandu valley which includes Lalitpur, Bhaktapur and Kathmandu districts were surveyed comprising of 50 samples from special schools and 50 from general schools. The data was analyzed through independent sample T-Test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perspectives between the two groups of teachers. Result: Considerabl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s of special education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were inferred from this study. As a whol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greed more on the presence of gender differences regarding the physical or biological aspects of gender such as puberty and acquisition of motor skills. On the contrary, general education teachers agreed more on the presence of gender differences of their students in terms of the mental, aspects of gender such as learning style, dealing with stress and creativity. Conclusion: It was thus concluded that as gender is such a complex issue, it would be beneficial for teachers to undergo gender training where they can be sensitized on the related issues.
목차
I. Introduction
II. Research Method
III. Results
IV. Discussion and Conclusion
V. Limit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적응행동기반 다중지능척도에 따른 장애학생 특성분석
- The Effects of TPRA Peer Monitoring Training on the Obsesrvational Learning and Improvement of Spelling Objectiv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SD
- 발달장애학생 직업흥미검사도구 개발을위한 직종 탐색
- 초등학교 장애학생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행복감
- 복합의사소통장애 초등학생을 위한 미국의 특수학급 운영 사례 연구
- A Comparative Study Between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spectives regarding Gender Stereotyping in Nepal
- 수학교과 교수내용지식(PCK)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