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복합의사소통장애 초등학생을 위한 미국의 특수학급 운영 사례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Case Study on the Special Clas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in the United Stat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한경임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20권 제4호, 25~56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의 한 초등학교에 있는 복합의사소통장애 학생을 위한 특수학급의 운영 사례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연구사례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 시에서 T.A.C.L.E.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특수학급이었다. 학급에는 3명의 특수교사, 13명의 복합의사소통 장애학생, 5명의 보조원, 1명의 간호사와 1명의 행동치료사가 있었다. 연구는 관찰과 면담, 자료 분석에 의한 질적 연구로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사례의 T.A.C.L.E. 특수학급은 주제중심 수업을 바탕으로 복합의사소통 장애 학생의 문해력 교육에 중점을 두며, 직접교수법을 사용하면서 학생들 지도에서 다양한 촉구 체계와 지도 전략을 활용하고 있었다. 둘째, T.A.C.L.E. 학급에서는 일반학생과의 교수적 통합뿐만 아니라 사회적 통합 활동과 비장애 또래나 장애 학생들 간의 또래관계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셋째, T.A.C.L.E. 학급 학생들은 유니버설 디자인을 활용한 놀이터와 손 사용이 자유로운 워커를 이용해 또래들과의 사회적 상호작용 기회가 많았으며, 다양한 보조공학을 활용하여 교과 수업에 참여하고 있었다. 넷째, T.A.C.L.E. 학급은 관련 서비스 전문가들뿐만 아니라 보조원, 학부모, 간호사, 행동치료사, 학부모들과의 협력에 의해 운영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우리나라에서 복합의사소통장애 학생을 지도해야 할 특수학급 운영에 많은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anaging status of an elementary school special class for students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CCN) in the USA. Method: The case was an elementary school special class using T.A.C.L.E. program in California, USA. A qualitative study through the observation and interview was performed to analyze this special class case. There were three special education teachers, 13 students with CCN, one nurse, one behavior therapist and five assistants at the class. Results: First, the class was focused to teach literacy using various instruction strategies for students with CCN through theme-based instruction. Second, there was practical inclusion program via the instructional integration and the various social integration. Third, the students of the class participated at various activities using assistive technologies and played with peers in the universal design play ground. Fourth, the class was managed through the cooperation with assistants, parents, nurses, school speech-language therapists, and regional service specialist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provide information on the managing special class with students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in Korea.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적응행동기반 다중지능척도에 따른 장애학생 특성분석
- The Effects of TPRA Peer Monitoring Training on the Obsesrvational Learning and Improvement of Spelling Objectiv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SD
- 발달장애학생 직업흥미검사도구 개발을위한 직종 탐색
- 초등학교 장애학생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행복감
- 복합의사소통장애 초등학생을 위한 미국의 특수학급 운영 사례 연구
- A Comparative Study Between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spectives regarding Gender Stereotyping in Nepal
- 수학교과 교수내용지식(PCK)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