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구조화된 노래부르기 중재가 학령기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자발적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0

영문명
The Effects of Structured Singing Interventions to Improve Spontaneous Communication Behaviors for School-aged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유지수 김수지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21권 제3호, 321~34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9.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구조화된 노래부르기 중재가 중증의 학령기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자발적 의사소통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중재의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 단일대상 연구 방법 중 하나인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로 진행하였으며, 자폐범주성장애 아동 5명을 선정하여 순차적으로 중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진행된 구조화된 노래부르기 중재는 중증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이 실제적인 의사소통 기술과 의사소통 시도에 개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단음절 중심의 노래 부르기 활동을 통한 무의미 발화, 동사 중심의 노래 부르기 활동을 통한 의미 있는 단어의 발화, 상호적 맥락에서의 요구표현 유도 활동을 통한 요구표현 발화를 단계적으로 유도하며 각 단계에 따라 노래 부르기 형태 및 노래 과제가 구조적으로 제공되는 중재로 총 3단계로 진행되었다. 자료수집은 반응발화와 시작발화로 구분하였으며 반응 발화는 지시사건 기록법으로, 시작발화는 등간 기록법으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모든 대상자의 반응발화와 시작발화 발생률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며 추가적으로 관찰된 행동변화로는 발성 및 발화에 대한 자신감 향상, 부정적인 의사소통 방식이 언어적 의사소통 방식으로 대체됨으로 공격적인 행동의 감소 등이 나타났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통해 구조화된 노래부르기 중재가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자발적 의사소통 행동 증가에 효과적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tructured singing interventions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and the behavioral changes according to the intervention. Metho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a single subject study method including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interval. The baseline period lasted for at least 3 sessions. The intervention was conducted in three stages in one session: largely monosyllabic centered vocal inducement activities, verb-centered singing activities, and interaction context inducement activities. Result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spontaneous communication response of the subjects after the structured singing intervention was increased and the incidence of the onset of speech was increased. In addition, the observed changes of behavior showed improvement of confidence in speech and pronouncing, as well as a reduction of aggressive behavior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use of musical structure for the improvement of language skills of children with severe autistic spectrum disorders, and the structured approach to singing intervention need to be studied continuousl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지수,김수지. (2019).구조화된 노래부르기 중재가 학령기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자발적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효과. 특수아동교육연구, 21 (3), 321-347

MLA

유지수,김수지. "구조화된 노래부르기 중재가 학령기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자발적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효과." 특수아동교육연구, 21.3(2019): 321-34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