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발달장애학생의 의사소통 기술과 대인상호작용 기술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이용수  0

영문명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n Communication Skills and Interpersonal Interaction Skill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김은라 최진혁 박재국 김민영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21권 제3호, 51~85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9.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발달장애학생의 의사소통 기술과 대인상호작용 기술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을 탐색하고 동시에 발달장애학생의 의사소통과 대인상호작용 향상을 위하여 우선적으로 지원되어야 할 요소를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발달장애학생을 담당하고 있는 특수교사 150명을 대상으로 의사소통과 대인상호작용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발달장애학생의 의사소통 기술의 수행도와 중요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발달장애학생의 의사소통 향상을 위하여 우선적으로 지원되어야 할 항목으로 ‘상대방과의 대화를 지속하거나 앞서 언급된 주제를 재언급하여 대화를 구체화하기’와 ‘그림, 그래프, 도표 및 사진이 나타내는 의미를 수용하고 이해하기’가 도출되었다. 둘째, 발달장애학생의 대인상호작용 기술의 수행도와 중요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발달장애학생의 대인상호작용 증진을 위하여 우선적으로 지원되어야 할 대인상호작용의 항목으로 ‘상황에 적합하고 사회적으로 적절하게 배려와 존중에 대해 반응하고 표현하기’와 ‘사회적, 문화적, 상황에 따라 자신과 타인과의 거리를 인식하고 유지하기’가 도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장애학생의 의사소통과 대인상호작용 신장을 위한 실질적인 교수-학습 전략을 제시되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into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n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interaction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ethod: 150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a paired t-test, IPA matrix analysis, and Borich’s need analysis method. Result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levels of performance and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well, 2 items such as ‘continuing the conversation with the other person or re-mention the topic mentioned above’ and ‘accepting and understanding the meanings of figures, graphs, charts, and photographs’ were identified to be supported first.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levels of performance and importance of interpersonal interaction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2 items such as ‘expressing and responding care and respect in a contextually and socially appropriate manner’ and ‘recognizing and maintaining distance from others according to society, culture, and situation’ were identified to be supported first to enhance interpersonal interaction.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the various practical strategies to improve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interaction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라,최진혁,박재국,김민영. (2019).발달장애학생의 의사소통 기술과 대인상호작용 기술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특수아동교육연구, 21 (3), 51-85

MLA

김은라,최진혁,박재국,김민영. "발달장애학생의 의사소통 기술과 대인상호작용 기술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특수아동교육연구, 21.3(2019): 51-8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