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애학생 협동학습 중재연구 고찰 및 효과에 관한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 Research Synthesis of Cooperative Learning includ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Korea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김희은 고혜정 조은정 김동일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21권 제3호, 21~49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9.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실시된 장애학생 협동학습 연구의 효과를 분석하여 협동학습 중재가 학생들의 학업성취, 사회적 기술,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내고, 이러한 중재의 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목적에 따라 협동학습, 장애학생에 관련 된 단어를 바탕으로 논문을 검색하고, 본 논문의 분석대상에 맞게 선정하고 추가 수정하였다. 특히, 통합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가운데 효과적인 방식이라고 알려져 있는 협동학습에 대해 최근 10년간의 비중을 확인하기 위하여 2010년에서 2018년의 논문을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총 19편의 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들의 효과크기를 살펴보았으며, 12편은 (준)집단설계를 활용하였고, 7편의 연구는 단일대상연구를 활용하였다. 그 중 학업향상을 위한 장애학생 협동학습은 9편이었으며, 사회성 및 학습태도 향상을 위한 장애학생 협동학습은 9편이었다. 학업과 사회성 및 학습태도 향상을 위한 장애학생 협동학습을 활용한 단일대상 연구는 높은 PND 값을 나타내며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준)집단설계연구의 경우 중재유형과 집단크기에 따라 분류할 수 있었으며, 이에 대한 각각의 크기가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연구결과 협동학습이 장애학생뿐만 아니라 학습자들의 학업 성취에 효과적임이 드러났으며 교사가 협동학습을 자주 제공하고 소그룹으로 제공하는 것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가 협동학습을 제공할 때 고려해야 할 점과 추후의 연구들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operative learning studies includ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analyze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s used for improvi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social skills, and attitude. Method: According to the research purpose, the study searched the researches related to cooperative learning and students with disabilities, specifically published from 2010 to 2018. Results: Total 19 of studies were searched. (semi)Group research design was used in 12 studies out of 19. Single subject research was used in 7 of 19. Among them, nine were cooperative studi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improve their academic skills, while nine wer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improve their social skills and learning attitude. A single-subject studies on the cooperative learning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improve their academic and social skills and learning attitudes showed large effect size. It was found that (semi)group design studies were categorized by the type of intervention, group size, and each size was different. Conclu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cooperative learning was effective for not only students with disabilities but also for learners’ academic achievement. Therefore, it can be suggested that educators should provide lots of opportunities of cooperative learning with smallgroup setting. As well, considerations for providing cooperative learning includ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y a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희은,고혜정,조은정,김동일. (2019).장애학생 협동학습 중재연구 고찰 및 효과에 관한 분석. 특수아동교육연구, 21 (3), 21-49

MLA

김희은,고혜정,조은정,김동일. "장애학생 협동학습 중재연구 고찰 및 효과에 관한 분석." 특수아동교육연구, 21.3(2019): 21-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