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반응성 교수 교육이 언어치료 실습생들의 상호작용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영문명
The Effect of Responsive Teaching Curriculum on the Interactional Efficacy of Preliminary Speech and Language Therapists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김기주 오소정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21권 제3호, 273~290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9.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언어치료 임상실습 과정에서 부모상담 및 교육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언어치료 임상 실습을 수강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부모-아동, 아동-중재자간 상호작용에 기반 한 반응성 교수 교육과정 전후에 학생들의 상호작용 효능감에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반응성 교수(RT) 기초과정을 수강한 32명의 언어치료학과 3,4학년 학생들의 교육 전후 상호작용 효능감을 두 대응표본 t검정으로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전반적인 상호작용 효능감에 유의미한 긍정적 변화가 있었으며 하위 영역별로는 반응성과 의사소통 면에서 향상을 보였다. 결론: 언어치료 임상실습을 수강하는 예비언어치료사의 상호작용 효능감을 높여 궁극적으로 전문적 역량을 갖춘 언어치료사를 양성하기 위해서 언어치료의 정규 및 비정규 교육과정에 부모 교육 및 상호작용 능력 향상을 위한 다양한 교육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Purpose: Clinical Practicum is important curriculum in communication disorders. This study aimed to examined the effect of responsive teaching(RT) on the interactional efficacy of students pre- and post-education. Method: 32 students- 3th & 4th grade- majoring in communication disorders participated in survey on changes of interactional efficacy before and after RT basic course. Paired t test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Overall interaction efficacy were increased and the scores in subarea such as responsiveness and communication also positively changed. Conclusion: In order to educate well-qualified and highly professional speech-language pathologists, parent education and interaction skills program are needed in regular or side curriculum to empower preliminary SLP’s efficacy during clinical practicum.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기주,오소정. (2019).반응성 교수 교육이 언어치료 실습생들의 상호작용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특수아동교육연구, 21 (3), 273-290

MLA

김기주,오소정. "반응성 교수 교육이 언어치료 실습생들의 상호작용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특수아동교육연구, 21.3(2019): 273-29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