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특수교사의 일-삶 균형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영문명
The Effects of Special Teachers' Work-Life Balance on Happiness: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배지영 박재국 김진희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21권 제4호, 217~241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일-삶 균형, 행복감, 회복탄력성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과 관계를 알 아보고 일-삶 균형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피고자 하였다. 연 구방법: 특수교사 213명을 대상으로 일-삶 균형, 행복감, 회복탄력성 인식을 묻는 설문조사를 실 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특수교사의 일-삶 균형의 수준은 ‘일-가족 균형’에 대한 인식(3.37±.73) 수준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일-여가(3.18±.99), 일-성장(3.12±.94)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사의 행복감 수준은 ‘내적행복’에 대한 인식((3.77±.74)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 로 ‘외적행복(3.68±.69)’, ‘자기조절행복(3.12±.80)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교사의 회복탄력성의 수준 은 영역별로 살펴보면 ‘긍정성’의 수준은 3.65±..62, ‘대인관계능력’의 수준은 3.54±.51, ‘자기조절능 력’의 수준은 3.33±.59 순으로로 나타났다. 넷째,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정하였을 때 특수교 사의 행복감에 대한 일-삶 균형의 직접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복탄력성은 일-삶 균 형과 행복감 사이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바탕으로 특수교사의 일-삶 균형, 행복감,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필요 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학교 현장에서 행복을 추구하는 교육적 환경을 구축하는 데 필요한 시사 점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pecial teachers' perception on work-life balance, happiness, and resilience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Method: A survey of 213 special teachers was conducted to ask them about their perception of work-life balance, happiness and resilience. Results: First, the level of work-life balance of special teachers was work-family balance(3.37±.73), work-leisure balance(3.18±.99), work-growth balance(3.12±.94). Second, the level of happiness of special teachers was internal happiness(3.77±.74), external happiness(3.68±.69), self-regulative happiness(3.12±.80). Third, the level of resilience of special teachers was positivity(3.65±.62), interpersonal relationship (3.54±.51), self-regulation(3.33±.59). Fourth, the direct effects of the work-life balance on the happiness of special teachers was significant, and that resilience represente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happiness in part. Conclusion: Based on findings of the study, the basic data needed to explore ways to improve the work-life balance, happiness and resilience of special teachers were utilized as basic data, and the implications needed to establish an educational environment in pursuit of happiness in the school field were deriv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배지영,박재국,김진희. (2019).특수교사의 일-삶 균형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특수아동교육연구, 21 (4), 217-241

MLA

배지영,박재국,김진희. "특수교사의 일-삶 균형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특수아동교육연구, 21.4(2019): 217-2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