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애인복지관 문화예술교육 담당자가 인식하는 장애인 문화예술교육의 의미

이용수  0

영문명
Meanings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Recognized by Practitioners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at the Community Center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Focused on the Analysis of Metaphor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장오선 김려원 전병운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21권 제4호, 43~6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관 문화예술프로그램 담당자들이 산출한 메타포를 통해 장애인 문화예술교육의 의미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장애인 복지관에서 실제로 장애인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담당하고 있는 담당자 167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메타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가운데 분석 자료로서의 요건에 충족하지 않는 26명의 자료를 제외한 총 141명의 메타포를 본 연구의 자료 분석 자료로 활용하여 메타포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장애인문화예술교육의 의미에 대한 장애인 복지관 담 당자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장애인문화예술교육의 존재 이유, 추구 방향, 접근 방법, 성공적 장 애인문화예술교육을 위한 매개체, 장애인문화예술교육의 기반과 같이 크게 5가지로 인식하고 있 음이 나타났다. 둘째, 장애인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장애인 복지관 담당자의 메타포 유형을 분석한 결과, 정서적 행복, 동등한 향유, 사회적 참여, 자존감 향상, 소통과 공감, 함께 하기, 재미있는 배 움을 통한 교육, 숨은 노력이 필요한 교육, 자유권 보장, 다양성 인정과 같은 10가지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 결과를 기초로 장애인평생교육에 있어서의 문화예술 교육의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meanings of art education program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rough metaphors induced from practitioners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s at the community center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Method: To that end, 167 practitioners in charg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t the community centers were selected and data for metaphors were collected. Of it, Metaphors from a total of 141 practitioners, excluding those from 26 that failed to meet the standards, were selected and an analysis of the metaphors was carried out. Results: First, the analysis of meanings of the practitioners showed that they recognized the foundations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s the five categories: its reason of existence, direction to be pursued, approaches, medium for successful culture and art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grounds for culture and art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Next, the analysis of the types of metaphors of the practitioners proved that they could be divided into ten: emotional happiness, equal enjoyment, social participation, improvement of self-esteem, communication and empathy, doing together, education through fun learning, education requiring hidden effort, ensuring the right of freedom, and acknowledgement of diversity. Conclusion: Based on the study results, discussion on a direc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has been hel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오선,김려원,전병운. (2019).장애인복지관 문화예술교육 담당자가 인식하는 장애인 문화예술교육의 의미. 특수아동교육연구, 21 (4), 43-68

MLA

장오선,김려원,전병운. "장애인복지관 문화예술교육 담당자가 인식하는 장애인 문화예술교육의 의미." 특수아동교육연구, 21.4(2019): 43-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