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커피 매개 긍정심리프로그램을 통한 발달장애성인의 자존감과 정서 변화
이용수 0
- 영문명
- A Change of Self-Esteem and Emotion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rough Positive Psychology Programs Using Coffee Activ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김주연 강영심 이유정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21권 제4호, 185~216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커피 매개 긍정심리프로그램이 발달장애성인의 정서와 자존감에 미치는 효 과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프로그램은 부산광역시 국립대학교에서 운영하는 발달 장애성인 대상 평생교육프로그램에 참여 중인 발달장애성인 5명을 대상으로 하여 사전-사후검사 를 실시하였으며 윌콕슨(Wilcoxon) 통계를 통해 검증하였다. 단일 집단 사전 사후 검사 설계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동안 각 회기마다 참여자의 정서 변화와 자존감에 관련된 내용을 관찰 기술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커피 매개 긍정심리프로그램에 참여 한 발달장애성인의 긍정 정서는 증가하였고 부정 정서는 감소하였다. 둘째, 발달장애성인의 자존 감이 향상되었다. 셋째, 발달장애성인은 활동 초반에는 부정 정서를 드러내었지만 회기를 거듭하 며 긍정정서를 다양하게 경험하는 동안 자신의 강점을 발견하고 성취감을 느꼈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커피 매개 긍정심리프로그램이 발달장애성인의 정서 변화에 영향을 미치며 자존감을 향상 시키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ositive psychology programs using coffee activities on emotion changes and self-esteem improvements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ethod: This program was conducted for five adults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who were attending non-degree courses by the National University of Busan City. To collect data, Self-Esteem scale to measure participants’ self-esteem level and MAACL(Multiple Affect Adjective Check List) to identify emotion-changes were used as pre-and post-tests. Wilcoxon signed tests were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re-and-post tests mean score to analyze the data.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s of the examination design before and after a single group, the contents related to the change in the emotion and self-esteem of participants were observed and analyzed at each session. Result: First, the self-esteem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improved. Second, the positivity among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in the positive psychology program was increased and negativity decreased. Third, the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wed negative emotions in the early stages of their activities, but they discovered their strengths and felt a sense of achievement during their various experiences of positive emotions over and over aga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positive psychology program is an effective program that improves self-esteem and affects emotion changes in the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커피 매개 긍정심리프로그램을 통한 발달장애성인의 자존감과 정서 변화
- Video-Based Instruction for Social Communication Skills in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 Systematic Review
- 시각·지적 중복장애 자녀를 둔 학부모의 양육 경험에 관한 연구
- 특수교사의 일-삶 균형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교사의 장애학생을 위한 교육적 배려가 비장애학생의 부정적 인식 및 친구관계 형성에 미치는 구조관계
- 인공와우 및 보청기를 사용하는 청각장애 학생에 대한 일반 교사의 이해
- 장애대학생 지원 프로그램 분석
- 장애인복지관 문화예술교육 담당자가 인식하는 장애인 문화예술교육의 의미
- 경도 지적장애 학생의 언어성 작업기억 특성
- 근거이론을 바탕으로 살펴본 특수교사의 내용교과 교수적 수정 과정에 대한 경험적 인식
- 특수교육에서 혁신학교 운영에 관한 사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2022 개정 교육과정에 기반한 개념 기반 탐구학습의 설계 및 적용
- 증강텍스트 읽기 수업에 대한 독자의 흥미 연구
- 공통국어 1 수행평가의 문제 양상 분석 - 수행평가의 내실화와 성취 수준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