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합학급 적응기간 운영에 대한 중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경험 및 지원 요구
이용수 9
- 영문명
-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Special Class Teachers in Middle Schools on Management of the Adaptation Period in Inclusive Class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이광림 김아름 김보배 진현경 이미숙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23권 제3호, 109~12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학교 특수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통합학급 적응기간에 대한 인식과 경험 및 지원요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 참여자는 중학교 특수학급에 근무하고, 통합학급 적응기간에 대한 운영 경험이 있는 특수교사 6명으로 선정하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학교 상황 및 학생 특성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통합학급 적응기간을 운영하고 있었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통합학급 적응기간 운영에 대한 법적 근거 부재 및 일반학급에서 돌발행동을 자주 보이는 학생들로 인해 통합학급 적응기간을 운영하는데 현실적인 한계를 느낀다고 하였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통합학급 적응기간의 운영을 위해 일반교사와 관리자의 인식 변화 및 통합학급 적응기간에 대한 운영지침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결론: 통합학급 적응기간이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일반교사와 관리자를 대상으로 하는 통합학급 적응기간에 대한 연수 실시, 통합학급 적응기간 운영에 대한 매뉴얼 구축, 그리고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special class teachers in middle schools on management of the adaptation period in inclusive classes. Method: 6 special class teachers in middle school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 study conducted the focus group interviews(FGI). Results: First, the study participants were operating the adaptation period in inclusive classes in different ways depending on the school conditions and student characteristics. Second, the participants felt the realistic limitations in operating adaptation period in inclusive classes due to the absence of legal basis and the unexpected behaviors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general classes. Third, the participants thought that general teachers, vice principals, and principals needed to change their perceptions, and guidelines for management of the adaptation period in inclusive classes should be presented to special class teachers. Conclusion: In order to operate the adaptation period in the inclusive classes properly, the training for general teachers, vice principals, and principals was needed, and the manuals needed to be established for the management of adaptation period in inclusive class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