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s of Job Stress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Quality of Life: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김은라 박재국 강은옥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23권 제3호, 61~8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를 탐색함으로써 특수교사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특수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교사 201명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삶의 질, 그릿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후 연구문제에 따라 기술통계와 SEM 검증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이때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부트스트레핑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삶의 질, 그릿의 수준은 긍정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삶의 질과 그릿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릿도 삶의 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그릿은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 그릿은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효과적인 매개변인으로써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특수교사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그릿에 초점에 두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mediating effect of Grit in the effect of job stress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quality of life. Method: A survey on job stresses, quality of life, and Grit was conducted with 201 participants. Descriptive statistics and SEM verification were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s well, to verify the signification of indirect effect, bootstrapping was used. Results: First, the levels of job stresses, quality of life, and Grit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positive, and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ree variables. Second, the job stress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Grit and quality of life. As well, Gri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quality of life. and it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between job stresses and quality of lif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nclusion: As it was found that Grit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Grit was discussed as a way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