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 영유아의 아버지가 참여한 국내 연구 동향
이용수 11
- 영문명
- Literature Review of Korean Studies that Involve Fat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남보람 장영선 박지연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23권 제3호, 31~6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9.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장애 영유아의 아버지가 참여한 국내 문헌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전반적인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장애 영유아 아버지 지원의 실제와 후속연구에 주는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0년부터 현재까지 수행된 장애 영유아 가족 참여 연구 중 아버지의 역할이 명확하거나 아버지 변인을 정확히 구분하여 제시한 연구 총 21편을 대상으로 전반적인 동향과 연구설계별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장애 영유아의 가족이 참여한 연구 중에서 아버지 참여가 명확하게 드러난 연구는 극히 소수였다. 둘째, 양적연구 16편 중 11편이 조사연구였으며 조사연구의 주요 주제는 양육참여, 양육스트레스, 행복감, 지원 요구 등이었다. 나머지 5편은 실험연구로, 아버지가 참여한 부모실행중재의 긍정적 성과를 보고하였다. 셋째, 질적연구는 5편이었으며, 아버지의 양육경험을 기반으로 삶의 어려움과 극복, 성장 등이 제시되었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 영유아 아버지 참여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overall trends in Korean studies that involved the fat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implications on the practices and future research for the father support. Method: The articles that clearly describe the fathers’ involvement or specify the father-related variables were selected among the studies published from 2000 to the present. Twenty-one studies were selected and the overall trends were analyzed. As well, the studies were categorized by research design and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studies were analyzed for each category. Results: First, only a few studies have clearly demonstrated the father involvement. Second, 16 articles were quantitative research and 11 among them were survey studies. The main themes of the survey studies were the fathers’ participation in parenting, parenting stress, happiness, support needs, etc. The rest five experimental studies reported the positive outcomes as the results of parent-implemented interventions conducted by the fathers. Third, in the five qualitative studies, the fathers seemed to have overcome and outgrown the difficulties of life through parenting experiences. Conclusion: Suggestions for revitalizing the father involvement in interventions and support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