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표성과 L2 수량 분류사 습득
이용수 0
- 영문명
- Markedness and L2 Acquisition of Numeral Classifiers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이다미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31호, 153~17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6.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L2 학습자의 한국어 분류사 습득을 다룬다. 본 논문의 목적은 Hansen과 Chen(2001)의 주장처럼 수량 분류사의 습득이 보편적 습득 순서에 따라 이루어지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만약 Hansen과 Chen의 주장처럼 수량 분류사 습득에 ‘Markedness Hierarchy’(Craig, 1988)가 적용된다면, 분류사는 생물>모양>기능의 의미자질을 가진 순서로 습득이 이루어질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L2학습자의 한국어 분류사 습득을 검토하기 위해 88명의 L1영어-L2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이해과제와 산출과제를 이용하여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결과, L2한국어 학습자들은 L2중국어나 L2일본어 학습자와 달리 생물>모양>기능의 보편적 습득 순서를 따르지 않았다. 이들의 한국어 분류사 습득은 Markedness Hierarchy 보다는 분류사의 빈도에 의해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목차
1. Introduction
2. Theoretical Background
3. Method
4. Results and Discussion
5. Conclusion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 오류 표지 방안 재고
- 한국어 학습 사전의 연구 동향 분석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의성어·의태어 교수법 연구
- 한-영 이중 언어 구사자들의 Code Switching 연구
- 한국어 수업 상황의 코드 스위칭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오류 연구
- 한국어 교육의 오류 분석 연구 동향 분석
- 유표성과 L2 수량 분류사 습득
-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의 교육과정과 평가
- 중국 대학 한국어 교원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사례 연구
- 한국어 높임법 교육의 기초 연구
- Two-way Immersion Students’ Writing Skills in Korean as a First and Foreign Language in the United State
- 바람직한 한국어교육능력 검정방안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