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Study on the Current Condition of Korean Education for Korean Minority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김병운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33호, 393~42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2.28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Since 1950's, with the establishment and improvement of the Korean Minority's educational system in China, the Korean teaching has startedto gain normal development. However, the establishment of the marketing economy has also great challenged the Korean teaching for the Korean Minority. The main challenges are as follows: 1. The reductionand float of the Korean Minority population have resulted in the merger and even breakdown of several schools special for the Korean Minority as well as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Korean Minority students who choose to drop out from schools. 2. Since their parents have to do business or work in other places, a large number of Korean Minority students have to move to those Chinese schools and lose the opportunity to learn Korean. 3. In the cities, because of the lack of excellent Korean teachers and the decline of the teaching quality, a lot of Korean Minority students choose to move to Chinese schools for study. 4. In those schools special for Korean Minority students, Chinese teaching is more and more emphasized and Korean teaching is greatly weakened. Actually speaking, the teaching language has gradually been changed from Korean to Chinese. There're several reasons why the Korean Minority have effectively carried out their Korean education in China by the end of 1980s. First of all, the Korean Minority has paid great attention to the education of their own language. Second, most of the Korean Minority are living in the habitat where there're good study environments. Third, there's a relatively complete national education system from elementary schools to colleges. The most fundamental reason for the challenge to the Korean teaching for Korean Minority is that the reduction of Korean Minority population as well as the increase of the floating population have brought in the disaggregation of habitat for Korean Minority. This is unavoidable during the whole process for Korean Minority of shifting from an agricultural society to a city society. We shouldn't be pessimistic, instead, we must direct actively so as to help the Korean education get rid of the crisis and pursue a brighter future.
목차
1. 서론
2. 한국어교육의 간략한 역사
3. 한국어교육의 현황
4. 한국어 교육의 문제와 위기
5. 한국어교육의 발전 방향
6.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이중언어능력의 조선족 아동과 대학생의 한자와 한글 단어, 문장 음독에 관한 연구
- 한-독 문학번역에서 진행상(progressive aspect) 표현에 관한 문제
- 한국어에 나타나는 이동의 어휘화 형식
- Using Diary Studies to Examine Reading Strategies in Japanese KFL Learners
- 재미동포의 한국어 교육
- 한국어 학습자 오류의 판정 및 수정 기준 연구
- 결혼 이주 여성을 위한 한국어 교육
- 읽기․쓰기 활동을 통합한 학술 보고서 쓰기 지도 방안
- A Contrastive Analysis of Modern Korean -e iss-, Middle Korean -e is- and Khalkha Mongolian-eed baĭ-
- 재대양주 동포의 한국어 교육
- 스페인어 직설법현재시제 동사활용표 제안
- 재외동포 한국어교육의 오늘과 내일
- 재대만 동포의 한국어 교육
- 음절구조제약의 조정현상에 대한 음운론적 유형 연구
- 한국인 비언어적 행위의 특징과 한국어교육 연구
- 웹기반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에 나타난 ‘학습자 중심성’ 연구
- 중국조선족의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발전방향
- 한국어 조사 ‘의’의 실현 양상과 해당 중국어 표현의 대조
- 외국인 근로자 자녀를 위한 한국어 교육
- Discourse-Based Grammar Instruction in the Advanced KFL Writing Class: Using Errors in Verb Endings
- 중국인과 일본인의 한국어 작문 텍스트 대조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 ChatGPT 기반 TOPIK 말하기 평가피드백 모형 개발 및 적용
- AI 기반 피드백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 탐색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한국어 교육과정 설계에서의 논점과 설계 근거
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