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cademic Writing Instruction Model Using Integrated Activity of Reading and Writing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김정숙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33호, 35~5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2.28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a view to suggesting effective ways to improve the academic writing ability of KAP(Korean for Academic Purpose) learners. Since the year 2000, the number of KAP learners including foreign students enrolled in Korean universities has been growing rapidly and accordingly the need for developing teaching contents and methodology for academic writing has also increased. However, there has been no corresponding increase in the number of research which suggested detailed plan for fostering language functions required for KAP such as writing term-papers or performing presentations. In this research, the integration of reading activity focusing on recognizing text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is presented as a new instruction model for teaching term-paper writing which KAP learners are required to perform frequently in continuing their academic studies. For this purpose, the theoretical ground for the effectiveness of using integrated activity of reading and writing is provided and further the effectiveness will be prov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ontrasting results between two different writing instruction models; writing instruction using integrated activity of reading and writing vs. teacher-centered writing instruction with no focus on reading activity. Based on the above analysis, guiding principles for writing instruction will be proposed, which can encourage KAP learners’ active recognition and imitation, and creative production through reading target term-papers.
목차
1. 서론
2. 읽기․쓰기 통합 교육의 필요성
3. 실험 및 결과 분석
4. 보고서 쓰기 지도 모형의 설계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이중언어능력의 조선족 아동과 대학생의 한자와 한글 단어, 문장 음독에 관한 연구
- 한-독 문학번역에서 진행상(progressive aspect) 표현에 관한 문제
- 한국어에 나타나는 이동의 어휘화 형식
- Using Diary Studies to Examine Reading Strategies in Japanese KFL Learners
- 재미동포의 한국어 교육
- 한국어 학습자 오류의 판정 및 수정 기준 연구
- 결혼 이주 여성을 위한 한국어 교육
- 읽기․쓰기 활동을 통합한 학술 보고서 쓰기 지도 방안
- A Contrastive Analysis of Modern Korean -e iss-, Middle Korean -e is- and Khalkha Mongolian-eed baĭ-
- 재대양주 동포의 한국어 교육
- 스페인어 직설법현재시제 동사활용표 제안
- 재외동포 한국어교육의 오늘과 내일
- 재대만 동포의 한국어 교육
- 음절구조제약의 조정현상에 대한 음운론적 유형 연구
- 한국인 비언어적 행위의 특징과 한국어교육 연구
- 웹기반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에 나타난 ‘학습자 중심성’ 연구
- 중국조선족의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발전방향
- 한국어 조사 ‘의’의 실현 양상과 해당 중국어 표현의 대조
- 외국인 근로자 자녀를 위한 한국어 교육
- Discourse-Based Grammar Instruction in the Advanced KFL Writing Class: Using Errors in Verb Endings
- 중국인과 일본인의 한국어 작문 텍스트 대조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 ChatGPT 기반 TOPIK 말하기 평가피드백 모형 개발 및 적용
- AI 기반 피드백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 탐색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한국어 교육과정 설계에서의 논점과 설계 근거
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