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pecial characteristics of non-verbal communication of Korean peopl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조현용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33호, 269~29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2.28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Steady progress has been made in research for the uses of colloquial language and written languag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well as in skill-specific Korean language education, material development,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ests, grammar and vocabulary. However, in teaching communication, unlike the progress made in colloquial and written languages, there in lies a significant gap in needed research on the role of non-verbal communication as well as the application of this rol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is study, various non-verbal communication were selected and categorized in a list format. Then researchers looked into ways to apply them in Korean language teaching. We created two parts for the list of non-verbal communication. First, there is the list of non-verbal communication according to body parts for easy access for instructors. The other list is based on communication-specific situations. These divisions are useful for materials development and situation-specific lesson creation. Furthermore, we provided a guideline on the application of this list for in-class use and for other teaching environments. This study explores the means to integrate non-verbal communication into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o invite new discussions to find new and effective ways to teach non-verbal communication.
목차
1. 연구 목적 및 연구 방법
2. 신체 부위에 따른 분류
3. 기능에 따른 분류
4. 한국어 교육을 위한 목록 제시
5.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이중언어능력의 조선족 아동과 대학생의 한자와 한글 단어, 문장 음독에 관한 연구
- 한-독 문학번역에서 진행상(progressive aspect) 표현에 관한 문제
- 한국어에 나타나는 이동의 어휘화 형식
- Using Diary Studies to Examine Reading Strategies in Japanese KFL Learners
- 재미동포의 한국어 교육
- 한국어 학습자 오류의 판정 및 수정 기준 연구
- 결혼 이주 여성을 위한 한국어 교육
- 읽기․쓰기 활동을 통합한 학술 보고서 쓰기 지도 방안
- A Contrastive Analysis of Modern Korean -e iss-, Middle Korean -e is- and Khalkha Mongolian-eed baĭ-
- 재대양주 동포의 한국어 교육
- 스페인어 직설법현재시제 동사활용표 제안
- 재외동포 한국어교육의 오늘과 내일
- 재대만 동포의 한국어 교육
- 음절구조제약의 조정현상에 대한 음운론적 유형 연구
- 한국인 비언어적 행위의 특징과 한국어교육 연구
- 웹기반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에 나타난 ‘학습자 중심성’ 연구
- 중국조선족의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발전방향
- 한국어 조사 ‘의’의 실현 양상과 해당 중국어 표현의 대조
- 외국인 근로자 자녀를 위한 한국어 교육
- Discourse-Based Grammar Instruction in the Advanced KFL Writing Class: Using Errors in Verb Endings
- 중국인과 일본인의 한국어 작문 텍스트 대조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 ChatGPT 기반 TOPIK 말하기 평가피드백 모형 개발 및 적용
- AI 기반 피드백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 탐색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한국어 교육과정 설계에서의 논점과 설계 근거
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