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비원어민 교사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이용수 8
- 영문명
- Korean as a second language students’ perceptions of Korean Nonnative Teachers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프라스키니 니콜라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43호, 345~37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Korean as a second language students’ perceptions of Korean nonnative teachers. The present study utilizes a “discourse analytic” method in order to analyze the essays that 28 first level Chinese students wrote on the differences between native and nonnative Korean language teachers. Every statement in the Students’ essays was coded and then grouped by theme. The analysis shows positive and negative statements for each of the themes emerged. Results show that the students evaluate positively both native and nonnative teachers but on different therms. Native teachers are preferred for the teaching of speaking and listening skills and for the teaching of culture, while nonnative teachers are preferred for the teaching of grammar and for the help that can give to students thanks to their experience as learners. The results can be applied to improve native teacher/nonnative teacher collaboration and team teaching.
목차
1. 서론
2. 비원어민 교사에 관한 연구
3. 비원어민 교사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4. 논의
5. 결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비원어민 교사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 한국어 쓰기 능력 평가 방안
- 다문화가정 아동의 한국어 과거표현 습득 양상에 관한 연구
- 학습 목적 한국어 교육을 위한 초등학교 국어과 교과서 ‘활동 지시문’ 연구
- 초등 다문화 학습자 대상 이중언어 교육 사례 연구
- The Issues and Self-Perceptions of Korean Early Study-Abroad Undergraduates in the U.S.
- 한국어 교육 항목으로서 담화표지 ‘말이다’에 대한 고찰
- 다문화 영어 그림책을 활용한 어휘 관련 다문화 문식성(Multicultural English Literacies)교육: SIOP 모델 기반
- 우리나라 광고문들의 이중언어사용 분석
- 다문화 가정 자녀를 위한 한국어 교재 분석
- 폴란드어와 한국어 분류사의 대조 연구
- 학문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동기가 학습노력과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추측과 의지의 양태 표현 ‘-겠-’과 ‘-(으)ㄹ 것이다’의 교육 방안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