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아동과 영어 단일언어 아동의 어휘발달 및 음운단기기억
이용수 13
- 영문명
- Vocabulary Development and Phonological Short-Term Memory in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 and English Monolingual Children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황보명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50호, 329~35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0.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resent study compared the vocabulary development and phonological short-term memory of equivalently high-SES samples of 16 bilingually and 16 monolingually developing children at 22 months old. The vocabulary development was measured with the number of productive vocabulary through M-B CDI in each languages. The short-term memory was measured with the accuracy of nonword repetition. The English monolingually developing children were significantly more advanced than the Korean-English bilingually developing children on measures of both the English vocabulary development and English phonological short-term memory. In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 Korean and English phonological short-term memory were positively correlated and unrelated to the balance of language exposure. And Korean phonological short-term memory and Korean vocabulary development were positively correlated. In English monolingual children, English phonological short-term memory and English vocabulary development were positively correlate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hildren exposed to Korean and English have a phonological short-term memory that is not specially turned to either language and that supports the development of the vocabulary.
목차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아동과 영어 단일언어 아동의 어휘발달 및 음운단기기억
- 학문 목적을 위한 한국어와 영어의 연구 경향 비교 분석
- Early Bilingual Development in a Korean-American Community: Ideals and Realities
- 러시아의 학습사전 연구의 특징
- 학문목적 학습자를 위한 복합문 구성 방안 연구
- 확장형 읽기를 활용한 한국어 읽기 수업의 효과 분석
- 한국어와 독일어 미각형용사의 의미 대조 연구
- ‘해요체’의 발음 교육을 위한 청자의 친절도 반응 비교
- 제 2언어 교실에서의 질문 분류 방식과 기능에 대한 재고 2
- 영어 및 일본어 원어민 한국어 학습자의 초분절 요소에 의한 유창성 평가 비교 연구
-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 교육의 확대 실시 방안 연구
- 한국어 강의 담화에 나타난 강조 발화의 특성
- 다문화 학생 대상 한국어 교재의 학습 한국어 단원 구성 방안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