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문 목적을 위한 한국어와 영어의 연구 경향 비교 분석
이용수 4
- 영문명
- A Comparative Trend Analysis of Research in KAP and EAP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설수연 한민지 김영규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50호, 79~10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0.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What are the key research trends in KAP and EAP? With this research question in mind, this article aims to review and compare the research trends in the two disciplines. In doing so, this article performs a qualitative research synthesis of the relevant studies in major domestic journals (e.g., Bilingual Research,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Korean Journal of Applied Linguistics) from 2002 to 2011. A total number of 83 research articles in KAP, published during this period, were classified and coded according to an analytic framework in terms of (1) research scope, (2) objects of research, (3) research topics, and (4) research methods. The KAP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EAP results based on an analysis of a total number of 166 research articles in EAP published during the same period. The results show that the research trends in KAP and EAP have similarities in some respects including the research scope and research topics addresse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made.
목차
1. 서론
2. 연구 내용 및 방법
3. 분석 결과
4. 논의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아동과 영어 단일언어 아동의 어휘발달 및 음운단기기억
- 학문 목적을 위한 한국어와 영어의 연구 경향 비교 분석
- Early Bilingual Development in a Korean-American Community: Ideals and Realities
- 러시아의 학습사전 연구의 특징
- 학문목적 학습자를 위한 복합문 구성 방안 연구
- 확장형 읽기를 활용한 한국어 읽기 수업의 효과 분석
- 한국어와 독일어 미각형용사의 의미 대조 연구
- ‘해요체’의 발음 교육을 위한 청자의 친절도 반응 비교
- 제 2언어 교실에서의 질문 분류 방식과 기능에 대한 재고 2
- 영어 및 일본어 원어민 한국어 학습자의 초분절 요소에 의한 유창성 평가 비교 연구
-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 교육의 확대 실시 방안 연구
- 한국어 강의 담화에 나타난 강조 발화의 특성
- 다문화 학생 대상 한국어 교재의 학습 한국어 단원 구성 방안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