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형론적 관점에서 다시 본 한국어 관형사의 품사 처리 문제

이용수  4

영문명
A Reconsideration about ‘Kwanhyeongsa’ from a Typological Perspective: Through the Comparison with Chinese and Japanese
발행기관
이중언어학회
저자명
리우 완잉
간행물 정보
『이중언어학』제66호, 1~2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3.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ether the so-called ‘kwanhyeongsa(관형사)’ in Korean should be seen as one of the separate type of parts of speech from a typological perspective. At the same time, the existing ‘kwanhyeongsa’ words should be given a detailed resetting for their parts of speech. To reach the above mentioned purposes, the classification standard of parts of speech which is the basis for all the discussions about parts of speech was firstly researched in this paper. Secondly, the existing ‘kwanhyeongsa’ words were compared with Chinese and Japanese.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t is not necessary to categorize ‘kwanhyenongsa’ separately. It makes more sense to classify most of the ‘kwanhyenogsa’ words as adjectives, pronouns or numerals according to their own meaning features. Also some of them can be identified as adverbs. In addition, words provided with features such as [TIME], [ORDER] or [DIRECTION] can be seen as elements of words but not words.

목차

1. 머리말
2. 품사 분류 기준을 통해 본 관형사의 품사 자격
3. 기존 관형사의 품사 재설정
4. 맺음말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리우 완잉. (2017).유형론적 관점에서 다시 본 한국어 관형사의 품사 처리 문제. 이중언어학, (), 1-26

MLA

리우 완잉. "유형론적 관점에서 다시 본 한국어 관형사의 품사 처리 문제." 이중언어학, (2017): 1-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