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로’의 포괄적 의미 기술 방안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broad grammatical description of ‘-lo’ for learners of Korean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탁수연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68호, 209~241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9.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lement the pre-existing descriptions of the grammatical form ‘lo’ in textbooks and grammar books for learners of Korean by describing it at a general level and provide them with the explicit knowledge. First, it is found that the focus of grammatical description of the meaning of ‘lo’ in those books tends to be placed heavily on the particular meanings at a specific level, the meanings are not described in lucid or orderly manners, and, above all, there are no general description provided. In order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form from a broader perspective,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oughts of the Korean linguistic community, i.e. the social context of it, instead of its linguistic context, then examine why or when they use it. Based on the analysis of descriptions of its meaning in the books, I hypothesized that the salient semantic feature of the form is that it presupposes the concept of multiple possibilities. To prove this, I examined some idiomatic expressions, in which ‘lo’ cannot be replaced by any other form. The common factor is that the concept is contained or presupposed as the common background knowledge of the speakers. They share the common belief that there are several possibilities in how or why something occurs, several places to go, several kinds of an object and so on. Therefore, I decided that ‘-lo’ is used when the speaker expresses that its preceding noun is one of several possibilities, without it being stated. In the end, I provided more in-depth grammar information regarding ‘-lo’.
목차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2. 선행 연구
3. 문법 기술 방식에 관한 고찰
4. ‘로’에 관한 기술의 양상 및 분석
5. ‘-로’의 포괄적인 의미 기술
6. 맺음말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중 개념적 은유 비교 연구
-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화용적 표현 인식 연구
- 재일코리안의 한국어에 대한 인식 연구
- 숙달도를 고려한 한국어 교재의 주제별 어휘 제시 양상 분석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종성 삽입과 음의 길이에 대한 음성학적 고찰
- 한국어 모국어 화자의 동사 사용과 의미적 근사치
- 다문화 이중언어교육의 현황과 과제
- 한국어 쓰기 평가에서 채점자의 언어적 배경에 따른 영향 연구
- The utility of indirect written corrective feedback for learners with different proficiency levels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로’의 포괄적 의미 기술 방안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