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쓰기 평가에서 채점자의 언어적 배경에 따른 영향 연구
이용수 9
-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 of Rater’s Language Background in Korean Writing Test: Centered on Raters’ Familiarity with L2 Learner’s Native Language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제효봉 장배흔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68호, 173~208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9.30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study explored the influence of raters’ language background on their rating. The raters in the research were divided into 4 groups: Chinese Han group (CC), China Korean group (CK), Korean raters who are familiar with Chinese (KC) and who are not (KK). First, by Multi-facet Rasch Measurement, the result showed that raters show greater difference in severity when rating organization compared with grammar. Then, the comparison of ratings within groups was mad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rating grammatical item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was found. However the interview after the research showed that some raters were actually influenced by their language background. In rating organization part, different results appeared. When examining all the items, there was no difference. But when the item “the overall organization” was examine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hinese raters (CC+CK) and Korean raters (KK+KC). And the difference exited between CC and KK as well. It can be seen that raters’ L1 does bring influence on the item rating. Besides, the ratings between KK and KC were compared. The resul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Further improved by the subjective statements and interview, it can be seen that for Korean raters their native language still plays a decisive role in rating.
목차
1. 들어가며
2. 선행 연구
3. 연구 대상 및 방법
4. 분석 결과 및 논의
5. 결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중 개념적 은유 비교 연구
-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화용적 표현 인식 연구
- 재일코리안의 한국어에 대한 인식 연구
- 숙달도를 고려한 한국어 교재의 주제별 어휘 제시 양상 분석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종성 삽입과 음의 길이에 대한 음성학적 고찰
- 한국어 모국어 화자의 동사 사용과 의미적 근사치
- 다문화 이중언어교육의 현황과 과제
- 한국어 쓰기 평가에서 채점자의 언어적 배경에 따른 영향 연구
- The utility of indirect written corrective feedback for learners with different proficiency levels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로’의 포괄적 의미 기술 방안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