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판소리 감상을 위한 박물관 콘텐츠 연구
이용수 17
- 영문명
- Research on museum contents for a: Focusing on cognitive and aesthetic functions of Pansori folk materials
- 발행기관
- 판소리학회
- 저자명
- 황혜진
- 간행물 정보
- 『판소리연구』제49집, 227~260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4.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판소리 감상에 있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판소리예술이 창출하는 허구적 서사세계에 대한 몰입이다. 그런데 판소리 듣기를 멈추고 그 사설의 의미를 찾아보거나, 판소리문학의 특정 표현이 도대체 뭘 지시하고 있는지 모르는 상태에서 각주를 하나하나 확인하는 것은 판소리 및 판소리문학 감상의 흥미조차 떨어뜨리게 된다. 이 연구는 이러한 현실에서 민속박물관이 판소리 감상을 위해 어떤 역할을 해야 하며 어떤 콘텐츠를 마련할 수 있을지 제안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이 연구는 판소리 감상에 필요한 민속적 소재들에 대한 앎이 판소리 감상에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 보임으로써 판소리 감상을 위한 박물관의 콘텐츠 구성의 밑그림을 그려보았다. 판소리 감상을 위한 박물관은 무엇보다 판소리에 언급되거나 재현되는 민속적 소재들에 대해 잘 알게 해주어야 한다. 나아가 문학적 상상력을 펼쳐내게 할 정도로 민속문화에 대한 구체적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 이런 경험을 통해 독자들은 판소리의 서사세계에 몰입하며 인물과 공감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most important thing in appreciating pansori is the immersion in the fictional narrative world created by pansori art. However, stopping the listening to pansori and finding the meaning of the editorial, or checking footnotes one by one without knowing what the specific expression of pansori literature is pointing to, will even lower the interest of appreciating pansori and pansori literature. In this reality, this study was designed to suggest what role the folk museum should play for appreciating pansori and what content it can provide. This study sketched out the composition of the museum's contents for appreciating pansori by showing how the knowledge of folk materials necessary for appreciation of pansori plays a role in appreciation of pansori. The museum for appreciating pansori should, first of all, be familiar with the folk materials mentioned or reproduced in pansori.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concrete experience of folk culture to the extent that the literary imagination is unfolded. Through this experience, readers can immerse themselves in the narrative world of Pansori and empathize with the characters.
목차
1. 서론
2. 판소리 이해와 감상에 있어 민속적 소재들이 갖는 가치
3. 판소리의 민속적 소재들이 갖는 인지적·미적 기능
4. 판소리 감상을 위한 박물관 콘텐츠 구성 방안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고제 판소리와 박동진 명창의 판소리
- 『벽소시고(碧笑詩稿)』 소재 <옥중화가(獄中花歌)>의 특징 및 당대 판소리와의 관련성
- 동리정사 옛 모습 재현(2)과 판소리를 중심으로 한 풍류활동 고찰
- 송순섭 명창의 생애와 판소리 철학
- 근대초 전통공연물에서의 웃음
- 판소리 감상을 위한 박물관 콘텐츠 연구
- 뿌리깊은나무박물관 소장 필사본 <沈靑傳>의 이본론
- 서사 구조를 통해 본 <숙영낭자전> 판소리화의 의의
- 판소리 중고제 자료의 재검토
- <춘향가> 중 ‘기생점고’ 대목의 바디별 수용과 연행 양상
- 전북의 소리꾼 이기권 연구
- 박동실의 정치적 노선과 『열사가』의 거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